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이재명, 한덕수 출마 관측에 "내란세력 귀환 노려…헌정회복 힘합쳐야"

서울맑음 / 12.6 °
"기재부, 정부 부처 왕노릇한다는 지적…지나치게 권한 집중돼 남용 소지"
내란관련자 엄벌 방침엔 "명백한 중범죄자 봐주는게 바람직한지는 국민이 판단"
보수 인사 영입 계획엔 "친소관계 아닌 실력따라, 최대한 넓게 사람 쓸것"
응원봉 지지 속 수락연설 하는 이재명 대선후보(고양=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후보가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경선 및 최종 후보자 선출 대회'에서 수락연설을 하고 있다.      지지자들이 흔드는 응원봉 사이로 연설을 하는 이재명 대선후보의 얼굴이 보이고 있다. 2025.4.27 utzza@yna.co.kr

응원봉 지지 속 수락연설 하는 이재명 대선후보
(고양=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후보가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경선 및 최종 후보자 선출 대회'에서 수락연설을 하고 있다. 지지자들이 흔드는 응원봉 사이로 연설을 하는 이재명 대선후보의 얼굴이 보이고 있다. 2025.4.27 utzza@yna.co.kr



(고양=연합뉴스) 곽민서 안정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는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금주 사퇴하고 대선 출마를 선언할 것이라는 관측과 관련해 "끊임없는 내란 세력 귀환을 노리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최종 후보 경선 종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여전히 내란의 주요 종사자들, 부화뇌동자들이 중요한 직책을 가지고 남아있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는 '한 대행의 출마가 내란·퇴행의 시도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심판하고 계신 분이 끊임없이 선수로 뛰기 위해서 기회를 노리는 것 아닌가, 그런 (의문을) 국민이 가지고 있는 거 같다. 그런 의문이 확실히 아니라고 생각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한 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았던 일 등을 겨냥해 "명확한 헌법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헌재가 명한 판결까지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헌법 파괴 행위고, 그 자체가 사실상 내란 행위"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과 관련해서도 "바깥사람과 뭘 해야 한다는 소문이 있던데, 잘되기를 바란다"며 한 대행의 출마설을 간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진보당 김재연 대선후보와 연대 가능성에 관한 질문이 나오자 "진보당이든 보수당이든 관계없이 이 내란을 극복하고 헌정 질서를 회복하는 데 함께하는 분들은 최대한 합쳐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게 연대든, 연합이든, 동조든, 협조든 뭐든지 함께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 후보는 이 과정에서 "진보당 후보도 없는데 무슨 단일화냐"고 말했다가 "진보당이 후보가 있는 줄 몰랐다. 죄송하다"며 사과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내란 관련자들에 대한 엄단이 윤석열 정부 때의 정치보복이나 문재인 정부 때의 적폐 청산과 어떻게 다른가'라는 질문에는 "국민들이 판단할 것"이라며 "명백한 중범죄자를 봐주는 게 정치적으로 바람직한지는 국민의 판단에 따를 일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보복의 개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명확하게 잘 지적해 준 적이 있으니 참고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향후 선대위 구성에 대해서는 "가급적이면 넓게, 많은 사람이 함께하고, 우리 국민께서 앞으로는 분열이나 대결보다는 힘 모아 통합의 길로 가지 않을까, 기대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중도 보수 인사 영입 가능성에 대해서도 "최대한 넓게, 친소관계 구분 없이 실력 중심으로 사람을 쓰겠다"고 거듭 밝혔다.

이 후보는 또 예산편성권과 경제정책 수립 권한을 갖는 기획재정부에 대해 "경제 기획이나 이런 것들을 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재정까지 틀어쥐어서 정부 부처의 왕 노릇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상당히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문제점들은 저도 일부 공감하는 바 있다"며 "세부적인 안은 나중에 내겠지만, 중요한 건 지나치게 권한이 집중돼서 남용의 소지가 있다는 생각이 들긴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는 기재부의 예산 기능을 별도로 분리할 필요성을 주장한 바 있다.

mskwa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