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애플 中공장, 인도로 옮긴다고 해결 안돼…"판매 타격 더 클 수도"

속보
경찰, '시흥 살인범' 차철남 신상공개 결정

FT "애플, 美에서 판매하는 모든 아이폰 인도서 조립 목표"

월가 전문가 "아이폰 공급망 중국에 뿌리…中 저항도 문제"



5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 복합쇼핑몰 '지오 월드 드라이브 몰'에 애플 스토어 인도 1호점이 외관 단장을 마친 모습이다. 2023.04.05. ⓒ 로이터=뉴스1 ⓒ News1 김성식 기자

5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 복합쇼핑몰 '지오 월드 드라이브 몰'에 애플 스토어 인도 1호점이 외관 단장을 마친 모습이다. 2023.04.05. ⓒ 로이터=뉴스1 ⓒ News1 김성식 기자


(서울=뉴스1) 김예슬 기자 =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對)중국 고율 관세에 대응해 아이폰 생산 거점을 중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부과받은 인도로 이전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26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시장분석기업 모펫네이던슨의 유명 분석가 크레이그 모펫은 전날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이같이 평가했다.

중국은 이른바 '펜타닐 관세' 20%와 별도로 상호관세 125%를 부과받았으며, 인도는 상호관세 26%를 부과받은 뒤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90일 유예를 통해 10% 기본관세만 부과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애플이 중국 대신 인도에서 미국으로 아이폰을 운송하는 항공편을 늘리는 등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응하는 방안을 인도에서 찾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또 애플이 내년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을 인도에서 생산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모펫은 "관세로 인해 엄청난 문제가 발생하는데, 인도로 이전한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물론 어느 정도 도움은 되겠지만, (결과적으로) 어떻게 될지는 의문"이라고 적었다.


모펫은 고객들에게 애플의 공급망은 여전히 중국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공장 이전도 중국의 저항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세계 무역 전쟁은 비용과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양면적인 싸움"이라며 "인도로 조립 공장을 이전하는 것이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판매가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썼다.

애플은 트럼프의 대중 관세 정책 최대 피해자 중 하나다. 애플은 중국에서 아이폰 약 80%를 생산해 왔다.


다만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로 중국 내 미국 기업들의 피해가 우려되자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선 125% 상호관세를 면제하고 향후 발표될 반도체 품목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yeseu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