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4월 25일 서울 중구 티비조선 스튜디오에서 열린 민주당 경선 마지막 TV토론회. 이재명 후보. 국회사진기자단 |
“12·3 내란세력 척결에 이재명만 한 적임자가 없다.”(광주 동구에 거주하는 31세 김성훈 씨)
“민주당은 찍을 건데 이재명은 여전히 싫어서 고민이다.”(광주 서구에 거주하는 자영업자 67세 정우진 씨)
6·3 대선을 앞두고 찾은 광주에선 “보수는 절대 집권해선 안 된다”는 정권교체론이 압도적이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의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에 대해 일부 시민들은 “아직도 사법리스크가 명확히 없어지지 않았다”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호남은 매번 주요 선거마다 ‘민주당의 텃밭’ 역할을 해온 지역이다. 전라남도는 2022년 대선 때 이 전 대표(86.10%)와 윤석열 전 대통령(11.44%)의 득표율 차가 74.66%로 전국에서 가장 큰 득표율 차이를 보였다. 광주(72.1%), 전라북도(68%)의 득표율 차도 각각 전국에서 2, 3등을 기록했다.
●“내란으로 망가진 나라 정상화할 수 있는 건 이재명뿐”
![]() |
이재명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4일 전북 김제시 새만금33센터에서 열린 전북 미래에너지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전북사진기자단 공동 취재) 2025.04.24. |
26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인근에서 만난 김성훈 씨는 “이번 대선은 새로운 대통령을 만든다기보다 12·3 내란 세력을 척결하고 민주주의를 바로 세운다는 의미가 더 크다”며 “민주주의의 상징인 광주가 앞장서서 민주 정부 대통령을 밀어줘야할 때”라고 말했다.
광주 서구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이제현 씨(75)는 “이재명 전 대표처럼 일 잘하는 사람이 아니면 비상계엄 이후 어려워진 경제도 못 살리고 망가진 보수도 못 잡는다”며 “이 전 대표가 그동안 검찰에 당한 게 많은만큼 숨어있는 내란 잔당들을 싹 다 잡아넣을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이 전 대표를 비롯해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경선 후보들이 일제히 광주를 ‘인공지능(AI) 선도도시’로 육성하겠다고 공약한 것을 두고 “호남 출신이 아닌 민주당 후보가 오히려 호남 홀대론을 끝내줄 것”이라는 기대감도 엿보였다. 광주 서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박현우 씨(45)는 “광주에 기아자동차를 제외하면 마땅한 일거리가 없는 상황이라 2030 청년들이 많이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는데, AI 도시로 개발한다면 광주에도 청년들이 많이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서구에서 한식당을 운영하는 정은주 씨(62)는 “광주 지하철 2호선이 2019년에 시작해서 벌써 7년째 지지부진한 것처럼 지역에 산적한 현안이 너무 많은데 정부는 기약이 없다”며 “이 전 대표처럼 일 잘하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면 지역 개발도 훨씬 더 원활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중앙당은 자체 여론조사 등을 토대로 호남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치는 분위기다. 민주당 양부남 광주시당위원장은 통화에서 “호남권역에서 투표율 90% 득표율 90%가 목표”라며 “대선에서 호남이 민주정권을 뒷받침해줘야 안정적인 정권교체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평생 민주당 찍었지만, ‘이재명’은 찍기 곤란”
![]() |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에 나선 이재명 예비후보가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오마이TV 스튜디오에서 열린 오마이TV 초청 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4.23. 국회사진취재단 |
오랫동안 민주당을 지지해온 시민들 사이에는 ‘반이재명’ 정서도 있었다. 정우진 씨는 “이 전 대표가 당의 기본 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세력들을 싹 다 잘라버리고 본인 입맛대로 당을 쥐락펴락하고 있다”며 “윤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나라가 보수-진보로 갈라진 상황에서 이 전 대표가 대통령이 되면 사법리스크 등을 이유로 이 전 대표를 물고 늘어질 텐데 증오와 불신만 들끓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주 남구에 거주하는 회사원 한병서 씨(30)는 “이 전 대표를 포함해 지난 선거 때까지는 민주당 후보를 찍었는데 이번에는 이 전 대표를 찍을 생각이 없다”며 “민주당 정권에서 해준 게 하나도 없는데 호남 출신도 아닌 이 전 대표가 되면 더욱 더 호남을 홀대할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달 1~3일, 8~10일, 15~17일, 22~24일 한국갤럽 조사 결과 민주당의 호남 지역 지지율은 4월 1·2주차 61%에서 3주차 67% 4주차 71%로 소폭 상승했다. 반면 이 전 대표의 지지율은 4월 1·2주차 57%에서 3주차 66%로 반등했다가 4주차에서 61%로 소폭 감소했다. (무선전화 면접 100% 방식.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이 전 대표가 호남 출신이 아니다 보니 호남 인물을 중용하지도 않고 호남을 더욱 홀대할 것이라는 인식이 조금 남아있긴 하다”며 “반민주주의 세력 척결과 정권교체를 위해 민주당에 대한 절대적인 지지가 필요하다는 점을 더욱 강조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이승우 기자 suwoong2@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