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학년도 교대 수시(일반전형) 합격선.(자료=종로학원) |
2025학년도 교대 합격점수가 지난해보다 크게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시 일반전형 합격선이 6등급까지 내려가는 등 일부 특별전형 내신은 7등급대도 합격했다.
종로학원은 27일 전국 10개 교대 및 3개 초등교육과 중 2025학년도 합격선을 공개한 서울교대, 춘천교대, 청주교대, 한국교원대 초등교육 등 5개교를 기준으로 합격점수를 분석했다.
서울교대 수시 일반전형 학교내신 합격선은 2.10등급으로 전년도 1.97등급보다 낮았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지난해 1.99등급이었지만 2.45등급까지 내려갔다. 춘천교대는 2023학년도 수시 일반전형 4.16등급, 2024학년도 4.73등급, 2025학년도 6.15등급으로 지속적으로 합격선이 낮아졌다. 101명을 선발하는 교직 적인성인재전형의 경우, 6.35등급까지 내려갔다.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의 경우도 2023학년도 1.74등급, 2024학년도 2.05등급, 2025학년도 2.25등급으로 하락했다.
광주교대는 2025학년도 3.54등급으로 2024학년도 수준을 유지했으나, 60명을 뽑는 수시 전라남도교육감 추천전형은 4.27등급으로 2023학년도 2.77등급, 2024학년도 3.15등급에 비해 크게 하락했다.
청주교대는 2023학년도 2.31등급, 2024학년도 2.92등급, 2025학년도 3.44등급으로 연속 하락했다. 학생부종합 지역인재전형은 2025학년도 4.07등급으로 2023학년도 2.44등급, 2024학년도 3.08등급과 비교했을 때 하락 폭이 컸다.
![]() |
2025학년도 교대 정시(일반전형) 합격선. (자료=종로학원) |
정시합격선도 상황은 비슷했다. 서울교대는 자체 환산점수 80%컷 기준 2024학년도 621.74점에서 618.41점으로 3.33점 낮아졌다. 서울교대는 2025학년도 수시와 정시 모두 합격선이 떨어졌다.
![]() |
춘천교대의 경우 등록자 수능 등급 최저기준으로 발표했고 2023학년도 정시 3.57등급, 2024학년도 3.63등급, 2025학년도 3.82등급까지 하락했다. 등록자 자체 환산 백분위 최저점수를 기준으로 발표한 한국교원대는 2023학년도 93.54점, 2024학년도 90.29점, 2025학년도 89.21점이었다.
광주교대는 국수탐 백분위 80%컷 기준, 2023학년도 79.17점, 2024학년도 72.17점, 2025학년도 68.33점으로 지난해 4등급 초반대에서 4등급 중반대까지 합격선이 내려갔다. 청주교대는 등록자 수능 등급 80%컷 기준으로 발표했는데 2023학년도 2.75등급, 2024학년도 3.38등급, 2025학년도 3.25등급으로 0.13등급 소폭 상승했다.
합격점수를 공개한 5개 대학의 선발인원은 전년 1402명에서 1258명으로 10.3% 줄었고, 합격선 또한 낮아졌다. 학교별로 살펴보면, 서울교대는 전년 357명에서 314명, 춘천교대는 322명에서 303명, 한국교원대는 111명에서 98명, 광주교대는 326명에서 289명, 청주교대는 286명에서 254명으로 선발인원을 축소했다.
전국 10개 교대의 신입생 미충원 인원도 늘고 있다. 2020학년도 8명, 2021학년도 9명, 2022학년도 16명, 2023학년도 22명, 2024학년도는 23명으로 집계됐다. 한국교원대와 이화여대, 제주대 등 초등교육과 미충원 인원도 2020학년도에서 2023학년도까지는 한명도 없었지만 2024학년도에는 3명으로 늘었다.
서울교대 신입생 미충원 인원도 2020학년도 0명, 2021학년도 1명, 2022학년도 2명, 2023학년도 2명, 2024학년도 7명으로 증가세가 뚜렷했다.
특히 수도권에 인접한 교대의 신입생 미충원이 지방권에 비해 늘고 있다. 2024학년도 신입생 미충원 인원 서울교대 7명, 경인교대 4명, 춘천교대 6명으로 전국 10개 교대 신입생 미충원 인원 23명 중 17명으로 73.9%를 차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신입생 선발인원을 줄인 2025학년도에도 교대 합격선은 크게 낮아졌고 하락 폭도 커지고 있다”면서 “내신 합격선이 6,7등급까지 내려가고 수능 합격선 점수도 4등급 중반대까지 내려가는 상황은 교사와 관련한 정책 등을 전반적으로 다시 한번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