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후보 2차 경선 ‘4강 토론회’
홍준표, 김문수 뉴라이트 역사관 비판
김문수 “무국적 상태였다는 뜻” 해명
홍준표, 김문수 뉴라이트 역사관 비판
김문수 “무국적 상태였다는 뜻” 해명
[이데일리 박민 기자]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예비 후보는 26일 김문수 후보가 26일 과거 고용노동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의 국적은 일본이었다‘고 발언한 것을 놓고 “뉴라이트 역사관에 대해 지금이라도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홍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MBN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선후보 2차 경선 4강 토론회’에서 김 후보를 향해 “만약 국적이 일본이었다는 주장을 계속하게 되면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은 전부 내란(이 된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나라의 3대 요소가 영토, 주권, 국민”이라며 “만약 일제강점기 우리 국적이 김 후보의 주장처럼 일본이었다면 ‘을사늑약‘이라는 말이 나올 수가 없다. 강제로 (국적을) 빼앗기지 않았나”고 지적했다.
홍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MBN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선후보 2차 경선 4강 토론회’에서 김 후보를 향해 “만약 국적이 일본이었다는 주장을 계속하게 되면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은 전부 내란(이 된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나라의 3대 요소가 영토, 주권, 국민”이라며 “만약 일제강점기 우리 국적이 김 후보의 주장처럼 일본이었다면 ‘을사늑약‘이라는 말이 나올 수가 없다. 강제로 (국적을) 빼앗기지 않았나”고 지적했다.
이에 김 후보는 “우리 국민의 민족은 한국 민족이지만, 당시 한국 국적을 뺏겨서 일본이 강제로 우리를 일본 국적으로 했다는 뜻”이라며 “손기정 선수가 대표적이다. 일장기를 달고 베를린 올림픽에 나가서 금메달을 땄다. 무국적이면 왜 일장기를 달고 나갔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가 왜 독립운동을 했나. 우리 국적을 찾기 위해서, 대한민국 국가를 찾기 위해서 한 것”이라며 “무국적 상태라면, 일본이 무국적 상태로 버려 뒀겠나”라고 해명했다.
홍 후보는 이에 대해 “(김 후보는)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의 동일성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라고 명시한 1986년 외교부 공식 문서 내용에 동의하지 못한다고 했다”며 “대한제국에서 임시정부로 갔다는 것을 부인해서는 안 된다. 김 후보 주장은 강제로 한 약탈혼도 유효하다는 주장과 동일하다”고 꼬집었다.
김 후보는 “외교부 공식 문서에 규범적으로는 동의해야 한다”면서도 “1965년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돼 그전에 했던 것은 무효가 됐다. 일제강점기 때 우리 국적이 뺏긴 상태를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정부의 입장은 한일기본조약을 소급해서 규범적으로 우리 국적을 빼앗기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후보는 또 “(김 후보가) 김구 국적도 중국인이었다고 이야기했다가 사과하지 않았나”라며 비판했고, 김 후보는 “중국인이 아니라 중국인이라는 설이 있다(는 것인데), 확실하게 입증할 수 있던 게 없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사과했다”고 답변했다
![]() |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경선 후보들이 토론에 앞서 대화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경선 후보. (사진=국회사진기자단)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