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 |
(서울=뉴스1) 국회사진취재단 =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후보들이 토론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후보. 2025.4.26/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주자들이 2차 경선 4자 토론회를 마친 뒤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를 꺾겠다고 입을 모았다.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가나다 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4명은 26일 서울 중구 MBN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2차 경선 4자 토론회에 참석했다. 다음날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일반국민 여론조사' '당원 투표' 전 마지막 토론이다. 여론조사·당원투표 결과 50%가 넘는 지지를 받은 후보는 본선 후보가 된다.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2강'의 양자 토론 등 최종 후보자 선출 절차가 진행된다.
김문수 후보는 토론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취재진이 '토론 소감'을 묻자 "아주 열띤 토론이 있었는데 앞으로 공부도 더 열심히 하고 서로 협력해 이재명 후보를 반드시 이기겠다"고 했다.
김 후보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빅텐트'와 관련해 "'제가 뭘 하겠다'는 것이 목표가 아니다. 우리 당이 이겨 대한민국을 구해야 한다는 열망은 출마하기 전이나 지금이나 같다"고 말했다. 이어 "누구라도 훌륭한 분이 계시면 손잡고 같이 해야 한다는 마음에 변함이 없다"며 "제가 대통령이 돼도 정말 훌륭한 분들과 손잡고 대한민국을 더 위대하고 행복하게 만들겠다"고 했다.
안철수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제가 2강으로 올라갈 것으로 확신한다"며 "지난번 토론보다 훨씬 더 좋았던 것 같다. 1대 1 토론보다 다자간 토론이 훨씬 더 다양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 |
(서울=뉴스1) 국회사진취재단 =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후보들이 토론에 앞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후보. 2025.4.26/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국회사진취재단 |
안 후보는 이날 토론을 시작할 때 "이재명과는 달리 도덕성을 갖춘 후보, 그리고 국민적 신뢰를 받을 수 있는 후보, 신성장동력을 만들 수 있는 후보가 안철수"라며 "의사로서 국민 생명을 구했고 IT(정보기술) 창업과 경영을 통해 새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성장시켰다. 대통령직 인수위원장도 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반드시 이재명을 이기겠다"라고 했다.
한동훈 후보는 취재진에게 "우리가 이재명 민주당을 이길 것이다. 이겨야 한다"며 "그런데 그게 목표가 아니다. 그 과정에서 좋은 나라 만드는 것이 제 정치의 목표다. 이를 위해 정책을 얘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AI 시대를 위한 200조원 투자를 얘기했다. 전혀 허황되지 않는다"며 "마크롱(프랑스 대통령)도 비슷하게 얘기했다. 167조원을 AI에 투자하겠다고 하면서 그중 상당 부분은 UAE나 캐나다 펀드로부터 도입하게 했다고 얘기했다"고 말했다. 또 "내부에서 서로 소모전을 하지 말고 바로 이재명과 맞설 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홍준표 후보는 '아쉬운 점이 있었나'라는 취재진 질문에 "할 말 다 했다"고 답했다. '한 권한대행과의 단일화' 관련 입장을 묻는 말에 홍 후보는 "정치적 혼란기"라며 "경륜과 능력이 있는 사람이 해야 한다. 평생 관료 하신 분이 정치적 혼란기를 수습할 수 있겠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랬는데 나오신다면 얼마든지 다시 경선하자고 하면 해야 한다"며 "당도, 당원도, 국민도 요구하니까 안 할 수 없다. 저 자신도 이 파고를 타고 넘지 않으면 이재명을 이기기가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비상식적이어도 받아들인 것"이라고 했다.
정경훈 기자 straigh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