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尹 파면 사과…홍 "최종 후보되면" 김 "복잡한 문제" 안 "다함께 하자" 한 "사과했다"(종합)

속보
서울 서남권에 호우주의보 발효
안철수, 4자 토론회서 김·한·홍에 尹 파면 대국민 사과 제안
한 "계엄 해제 의결 참여 왜 안했느냐" 안 "시간 놓쳤다"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후보들이 토론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후보. 2025.04.2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후보들이 토론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후보. 2025.04.2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재우 전병훈 수습 신유림 수습 기자 =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26일 김문수·한동훈·홍준표 후보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제안했다.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한 후보는 안 후보의 제안에 호응했지만 탄핵에 반대한 김 후보와 홍 후보는 사과 제안에 즉답하지 않았다.

안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MBN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2차 경선 '4강 토론회'에서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됐다"며 "정부·여당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 상처받은 국민에게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고 물었다.

홍 후보는 "제가 최종 후보가 되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김 후보는 "굉장히 복잡한 문제를 물었다"며 "지금 윤 전 대통령이 계엄하고 탄핵돼서 파면되는 과정에서 민주당의 30명이 넘는 줄탄핵, 특검, 예산 전면 삭감 등 이런 부분이 충분히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안 후보는 "할 생각이 없다는 말씀"이라고 지적했다.

한 후보는 "12월 3일 밤 계엄을 저지한 이후부터 줄곧 반복해서 대단히 많은 숫자로 이미 사과했다"며 "제가 (당시) 당대표로서 그리고 하나의 정치인으로서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답했다.

이어 "절대로 겪으셔서는 안 되는 일을 겪게 해드려서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당시 당 대표였던 사람으로서 국민께 대단히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안 후보는 "저도 두번에 걸쳐 사과드렸다"며 "어떤 분들은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사실상 옹호하고 반성과 사과를 하지 않는데 사실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당이 대선에서 승리하려면 탄핵의 강을 건너야 한다"며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국민께 반성하지 않으면 우리는 도저히 이재명에게 이길 수 없다"고 했다.

한 후보는 안 후보를 향해 계엄 해제 표결 불참 배경을 캐물었다. 한 후보는"안 후보같이 정의감과 국가관이 투철한 분이 왜 계엄 해제 의결에 참여를 안했느냐"며 "제가 계속 본회의장으로 와달라고 '단톡방'에 올렸잖느냐"고 물었다.


안 후보는 "그 날 문자를 4개 받았다. 최종적으로 받은 문자가 바로 추경호 원대표가 당사로 올라는 것"이라며 "그거 가보니 여기 있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국회로 갔다. 그런데 경찰이 막고 있어서 경찰을 피해서 멀리 담을 넘어서 국회로 갔다"고 답했다.

한 후보는 "그런데 계엄 해제에 왜 참여 안했느냐"고 추궁했다. 안 후보는 "시간을 놓쳤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왜 추 원내대표 말은 따르고 내 말은 왜 안 따르냐"고 거듭 물었다. 안 후보는 "두 분이 소통하는 줄 알았다. 거기 있던 의원도 다 마찬가지"라고 답했다.

한 후보는 "1차 탄핵 가결에 찬성했지 않느냐. 탄핵안에 '북중러에 대해 우리 정부가 외교를 잘못했다'는 내용이 있다"며 "저는 그 부분을 절대 받아드릴 수 없었다. (안 후보는) 그 조항이 포함된 1차 탄핵안에 당론에 반대하면서 찬성했다"고 지적했다.


안 후보는 "거기에 대해서 반대지만 결국 큰 틀로 보면 우리 당이 계엄에 반대하는 정당이 돼야 한다는 것이 더 중요했다"고 답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ronn108@newsis.com, idaho@newsis.com, spicy@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