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토론...탄핵·부정선거론서 격론, 개헌엔 한목소리
![]() |
24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안철수(왼쪽), 김문수 후보가 토론 전 리허설을 하고 있다. 2025.4.24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인 김문수, 안철수 후보가 24일 대선 경선 토론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충돌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선 엇갈린 입장을 내놨다.
안철수 후보는 24일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 맞수 토론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을 당한 건 보수 정치의 뼈아픈 역사다. 책임있는 정치인이라면 과거 실정을 외면하지 않고 직시하는 게 필요하다"며 "국민 앞에서 먼저 국민 앞에서 진심으로 솔직하게 사과해야한다. 그래야 탄핵의 강을 넘고, 국민의힘이 이기는 길로 갈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그러나 "탄핵이 처음도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도 탄핵됐다. 우리가 뽑은 대통령은 계속 탄핵됐다. 우리 당 의원들이 자기 당 소속 대통령을, 자기가 뽑은 대통령을 탄핵한다. 정당이 어떻게 된 건가. 정당 자체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반박했다.
이에 안 의원은 "우리 보수의 진짜 책임은 국민 앞에서 반성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국민께 사과하고 호소해야 한다"고 재차 지적했고, 김 후보는 "안 의원은 사과하시라. 내가 오히려 말하고 싶은 건 국민의힘 안 의원이 꼭 탄핵해야 했는지 조금 의아하게 생각한다. 우리 당 의원들이 뭉쳐서 해결해야 한다"고 응수했다.
안 의원은 "탄핵소추안에 표를 던진 이유는 헌법에 나온 명문을 어겼기 때문이다. 사변이나 내란이나 국가 비상사태가 아니었고, 제일 황당한 게 경찰이 의원들이 국회에 들어가는 것을 막았다. 탄핵소추안에 찬성할 수밖에 없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김 후보는 재반박했다. 김 후보는 "안 의원은 국민의힘이 중진 의원이다. 정치인이 해야하는 건 당내 단합과 민주주의다. 안 의원은 정권 인수위원장도 하지 않았나. 소위 윤석열 정부의 산파였다. 오히려 당내 의원을 모아 막아내자고 했으면 좋아았을 것"이라고 공세를 폈다.
안 의원은 헌법 조문을 정면으로 어긴 만큼 소신대로 투표했다는 점을 분명히했고, 김 후보는 "안 의원은 국회의원이기도 하지만 국민의힘의 당원"이라며 "안 의원이 투표한 이후 지금 어떻게 됐나. 이재명이 밥상 받아놓은 것처럼 (됐다)"고 강조했다.
한덕수 대행과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 질문에도 양측의 입장은 엇갈렸다.
안 후보는 "한 대행은 지금 할 일이 너무 많다. 지금 미국의 관세 문제가 정말 심각하다. 하루에 1%만 관세를 낮춰도 우리가 차지할 국익은 엄청나다. 미국은 보통 대통령 4년 임기중 6개월 내에 그 나라 정책이 다 결정된다"라며 "더불어민주당 때문에 3개월 일하지 못한 게 너무 아쉽다. 한 대행이 3개월 동안 이 일을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후보는 "한 대행이 출마를 하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다만 출마한다고 하면 우리 표를 갉아먹는다. 가뜩이나 우리가 어려운데 한덕수든 김덕수는 누가 나오든 반드시 단일화해야 한다. 이승만 대통령 말처럼 뭉치면 살고 나눠지면 망한다. 반드시 뭉쳐야 한다"고 답했다.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 문제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였다.
김 후보는 "이준석 후보는 우리 당 대표 출신이다. 젋은층의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합쳐야 한다"면서도 "다만 이 후보와 합칠 때 조건이 한 대행 만큼 간단하지 않은, 많은 다른 문제가 있다. 사전에 충분히 타진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이번 선거는 정말로 어렵다. 국민의 60% 이상이 정권 교체를 바란다. 우리가 이기기 위해선 반(反) 이재명 세력을 한 사람이라도 더 모아야 한다. 평소 생각이 달라도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안된다는 생각만 같으면 한 사람이라도 더 모으는 것이 이기는 길"이라고 말했다.
'부정선거론'에 대한 의견차도 보였다. 안 후보는 "관리 부실은 확실히 있다"면서도 "부정선거의 증거가 발견된다면 모든 일들이 풀려나갈 수 있지만 그런 일이 안 생긴다면 명백하게 부정선거라고 말하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주장했다. 반면 김 후보는 "선거 관리 자체가 부실하다"라며 "국민이 믿지 못할 부패하고 비리가 많은 선관위 때문에 부정선거론이 증폭된다"고 맞받아쳤다.
다만 개헌 문제에 대해선 의견을 같이했다. 안 후보는 "대통령의 제왕적 권력이 초래한 국정 혼란을 보셨을 거다. 분권형 개헌을 통해 대통령 및 국회 권한을 줄이는 개헌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도 "같은 생각이다. 거대 민주당의 입법 횡포는 정말 독재 중에 이런 독재가 없다. 대통령 독재보다 더 무서운 게 국회 독재라는 걸 알게 됐다. 국회의 30번에 걸친 줄탄핵, 걸핏하면 특검을 한다. 예산 삭감 이런 횡포를 막아야 한다는 점에서 생각이 같다"고 입을 모았다.
[이투데이/김동효 기자 (sorahosi@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