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전 대통령. 〈사진=사진공동취재단〉 |
━
더불어민주당 "명백한 정치보복이자 억지 기소"
━오늘(24일)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이번 기소는 명백한 정치보복이자 조기 대선에 영향력을 행사해 보려는 검찰의 정치행위"라며 "억지 기소"라고 밝혔습니다.
조 대변인은 "경찰이 지난 3년 5개월간 질질 끌던 문 전 대통령 사건을 난데없이 조기 대선을 40여 일 앞둔 오늘 기소했다"며 "대면 조사는커녕 서면조사 한번 제대로 하지 않고, 사위가 받은 월급이 장인에 대한 뇌물이라는 황당한 논리로 벼락 기소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즉시항고 포기로 내란수괴 윤석열을 석방시키고, 온 국민이 지켜본 김건희 명품백 수수 사건도 무혐의 처리한 검찰"이라며 "이런 검찰이 문 전 대통령을 기소하면서 앞으로도 권력을 이용한 공직자의 부패범죄에 엄정 대응하겠다고 발표했다. 황당할 따름"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억지 기소는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검찰 스스로 한 번 더 증명한 것"이라며 "국민께서는 정치 검찰을 향해서도 매서운 심판을 내리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박경미 민주당 대변인도 서면 브리핑을 내고 "검찰이 넘지 말아야 할 마지막 선을 넘었다"며 "기소권을 독점한 검찰의 폐해를 똑똑히 보여주는 억지 기소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어떻게든 전직 대통령을 모욕주고 민주당에 흠집을 내기 위한 정치 기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며 "즉시항고를 포기하며 윤석열을 합법적으로 탈옥시켜주고서 되지도 않을 억지 논리로 문 전 대통령을 기소한 것도 황당무계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께서 윤석열·김건희 부부에 대한 무딘 수사를 질타하니 적반하장으로 문 전 대통령을 기소한 것도 용납할 수 없다"며 "검찰의 발악은 검찰 개혁을 재촉할 뿐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국민의힘 "정의로운 판결 기대해"
━반면 국민의힘은 문 전 대통령이 '용서받지 못할 중죄'를 저질렀다며 "법원의 정의로운 판결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번 기소에 대해 "문 전 대통령이 청와대를 사조직처럼 부리며 이상직 전 의원과 공모하여 전 사위에게 불법적인 특혜를 제공하게 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부동산 정책 실패로 청년들을 길거리에 내몰고 선심성 고용 정책으로 저질의 단기 일자리만 전전하게 만들었던 문 전 대통령이 정작 자신의 사위에게는 권력을 남용해 각종 특혜를 제공했다면 그야말로 용서받지 못할 중죄"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법원이 국민의 기대치에 맞는 정의로운 판결을 내려주기를 기대한다"며 "문 전 대통령과 민주당 역시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는 정치적 수사와 경거망동을 멈추고 다가올 법의 심판을 겸허히 받아들일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했습니다.
━
조국혁신당 "날치기 기소…'윤건희' 위한 발악"
━한편 조국혁신당은 "검찰이 서면 조사 도중에 기습 날치기 기소를 자행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위한 검찰의 끝없는 발악이 참으로 역겹다"고 비판했습니다.
윤재관 조국혁신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흉악하고 저열한 칼을 휘두른 검찰의 목적을 국민은 다 꿰뚫고 있다"며 "'윤건희' 충성을 증명하고 대선에 개입하기 위함"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또 심우정 검찰총장, 이창수 중앙지검장 등 검찰 수뇌부의 죄상을 덮고, 검찰 개혁을 저지시키기 위한 목적"이라며 "검찰은 해체돼야 하고, 윤석열·김건희, 심우정, 이창수는 검찰을 죽인 장본인으로 기록돼 죄상에 따라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문 전 대통령 전 사위의 해외 항공사 특혜 채용 의혹을 수사한 전주지검은 이날 문 전 대통령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뇌물) 혐의로 불구속기소 했습니다.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전 의원도 뇌물공여와 업무상 배임 혐의를 적용해 기소했고, 문 전 대통령 딸 다혜 씨와 사위였던 서모 씨에 대해서는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습니다.
유혜은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