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韓대행 "AI 국가대표팀 선발"… 누가 집권해도 해야할 일 [사설]

속보
경희의료원 서관 건물 옥상에서 화재…진압 중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인공지능(AI) 국가대표팀을 선발해 한국형 챗GPT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한 대행은 추가경정예산의 신속한 국회 의결을 요청하면서 AI 경쟁력 강화를 역설했다. AI 경쟁력은 미래 성장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AI 투자와 육성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정부가 편성한 AI 추경은 1조8000억원으로, 기존 본예산을 합하면 올해 AI 예산은 3조6000억원으로 늘어난다. 예산은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해 세계 수준의 한국형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하는 데 쓰인다. AI의 연산과 학습에 필수적인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도 연내 1만장 확보할 계획이다. AI 분야 석박사급 인재 3300여 명을 양성하고, 유망 중소·벤처기업 등에 투자하는 AI혁신펀드도 9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확대한다. AI와 직결되는 반도체 산업 지원 예산도 이번 추경에 포함됐다.

정부가 자원과 인재를 몰아주겠다며 AI 지원에 나선 것은 AI 패권 전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한국의 AI 경쟁력은 기술과 인프라, 고급 인재 등 모든 분야에서 선두 그룹에 뒤처져 있다. 한국이 보유한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칩 'H100'은 2000개에 불과하다. 미국의 메타나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각각 15만개를 보유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1/75수준이다. 인재 부문에서도 상위 20% AI 연구원 중 한국인은 2%에 그친다. 기술 수준 역시 3위권이라고는 하지만 미국·중국과의 격차가 현격하다. 특히 대형언어모델 분야에서는 후발주자다.

이런 상황에서 AI에 대한 과감한 투자는 정권의 이해관계를 넘어선 국가적 과제다.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도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고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고 밝힌 만큼 AI 산업 육성에는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과거 원자력발전 사례처럼 정권에 따라 투자 규모와 방향이 흔들린다면, AI 패권 경쟁에서 영원한 추격자로 남을 수밖에 없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