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파이낸셜뉴스 언론사 이미지

해킹 걱정에 유심 비밀번호 설정? "휴대전화 잠길 수 있어"

파이낸셜뉴스 구자윤
원문보기
속보
파월 "관세 경제위험 증가했지만 아직 현실화하지 않아"
파이낸셜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SNS 등에 공유되고 있는 유심 비밀번호 설정 방법. X 캡처


해커 공격으로 SK텔레콤 가입자 유심(USIM) 정보가 유출되면서 SKT 고객들이 불안감에 유심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적합한 해결책이 아닌 데다 이 과정에서 휴대전화가 잠겨 사용 못하는 일이 잇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X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유심 비밀번호 설정을 권유하는 게시물이 쏟아지고 있다. 유심에 비밀번호를 걸면 외부의 해킹 공격을 막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문가들은 이통사 서버 내 유심 정보가 유출된 사례의 해결책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유심 비밀번호 설정은 휴대폰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했을 때 이를 습득한 사람이 기기 안 유심을 꺼내 복제하거나 유심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용도"라며 "유심 안 고유정보가 해킹된 이번 사례엔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심 비밀번호를 3차례 이상 잘못 입력하면 휴대전화가 잠겨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경우 대리점에 방문해야만 잠김을 해제할 수 있다. 초기 비밀번호는 '0000'(숫자 '0' 4개)으로, 이를 입력한 뒤 자신만의 비밀번호로 바꿀 수 있는데 이를 모르고 처음부터 자주 쓰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다 휴대전화가 잠기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X에는 “저 유심 비밀번호 설정 잘못 돼서 휴대폰 막혔어요”, “유심 비밀번호 재설정 해두겠다고 난리쳤다가 결국 폰 자체가 잠겨버렸어요”, “유심 보안 높인다고 비밀번호 설정하다가 다 틀려서 대리점 가야돼” 등의 글들이 쏟아졌다. 실제 SKT 고객센터 및 대리점에는 유심 비밀번호 설정 중 입력 오류가 발생해 휴대전화가 잠긴 고객들의 문의가 하루에 수천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SKT 관계자는 “유심보호서비스는 타인이 고객의 유심 정보를 복제 또는 탈취해 다른 기기에서 통신 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해 주는 서비스”라며 “SKT는 유심보호서비스를 더욱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전 고객 대상 서비스 가입 권장 문자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발송하는 등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