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문수(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홍준표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2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주요 변수로 떠오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출마론을 비판해온 홍준표·한동훈 후보가 한 권한대행과 ‘단일화’ 문을 열어뒀다. 한 권한대행과 연대 의지를 통해 각각 보수 지지층과 중도층에 소구하려는 정반대 셈법으로 풀이된다. 출마 자체를 반대하고 나선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인 김문수 후보는 선명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홍 후보는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 권한대행이 출마하고 반이재명 단일화에 나선다면 한 권한대행과도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홍 후보는 오후에도 페이스북에 “제가 최종 후보 되더라도 한 권한대행과 원샷 경선해서 보수 후보 단일화 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날 밤 페이스북에 한 권한대행과의 “빅텐트 단일화 협상의 길은 열어 놓겠다”고 밝힌 연장선상이다.
한 후보도 이날 페이스북에 “경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다음 본선 승리를 위해 모든 사람들과 함께 할 것”이라며 “특히 한 총리님과 저는 초유의 계엄 상황을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수습하기 위해 함께 머리를 맞댔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지키고 꽃피우겠다는 생각이 완전히 같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 출마론 자체를 강하게 비판한 기존 입장과 달라진 태도로 평가된다. 홍 후보는 한 권한대행의 공정한 대선 관리 역할을 강조하며 ‘국민의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단일화론을 “어처구니없는 설계” “비상식”이라고 비판해왔다. 한 후보도 한 권한대행 차출론을 “보수 기득권 세력의 패배주의”로 규정해왔다.
한 권한대행이 이날 국회 시정연설에 나서는 등 출마 분위기가 점차 고조되는 상황을 거스르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각종 여론조사상 50% 안팎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에 맞서려면 범보수 진영이 총 결집해야 한다는 요구도 간과하기 어려운 요인이다. 홍 후보는 “모두 안고 가라는 게 당원과 국민들의 요구라 입장이 바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4인이 남은 2차 경선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지지층을 넓히려는 목적도 읽힌다. 김문수 후보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반탄) 대표 주자를 겨루고 있는 홍 후보는 한 권한대행의 ‘윤석열 정부 2인자’ 이미지를 활용해 보수 지지층을 더 끌어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홍 후보는 “당내 찬탄·반탄 가리지 않고 모두 함께 가도록 하겠다”며 ‘국민 대통합’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찬탄 한 후보는 한 권한대행과 함께 지난해 12월 윤 전 대통령의 불법계엄 선포 국면을 수습·관리하려던 사실을 환기하며 중도층까지 지지를 확장하려는 취지로 해석된다. 한 후보는 “이제는 정말 우리 당이 계엄의 바다를 건너야 한다”는 입장에서 한 권한대행을 ‘국정 안정’ 이미지와 연결 짓는 모양새다.
안 후보는 한 권한대행의 출마를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안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한 권한대행은 탄핵당한 윤석열 정부의 유일한 국무총리였다”며 “국정 실패, 계엄, 탄핵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의 재출마와 다르지 않다”고도 주장했다.
다만 안 후보는 이날 채널A 유튜브 <정치시그널>에 출연해 “우리 정부의 제일 대표적인 관료이니 우리 당을 도와주실 수 있는 분”이라며 한 권한대행 출마 시 단일화 가능성을 닫아두지는 않았다. 결국 ‘출마 반대’ 메시지는 당장의 경선 단계에서 찬탄 후보 정체성을 극대화하려는 취지로 해석된다.
반탄 김 후보는 “의도적으로 표를 얻기 위해 윤 전 대통령과 거리 두기를 할 생각이 전혀 없다”(전날 중앙일보 인터뷰)며 한 권한대행 출마 시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김 후보 캠프의 김재원 미디어총괄본부장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김 후보는 4명 후보 중 유일하게 경선에서 승리하면 곧바로 한 총리에게 단일화를 제안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고 강조했다.
![]()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추가경정예산안 시정연설을 마치고 국회를 나서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박광연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