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연합뉴스 |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최근 군의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한국을 떠나라”고 작심 발언했던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이번에는 대한민국 군 의료체계의 혁신에 대해 소신 발언을 해 눈길을 끈다.
이 병원장은 지난 21일 한국국방연구원(KIDA)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인터뷰에서 “예전에는 의사가 되었으면 당연히 군인 장교로 가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저희 부대만 해도 의사 선생님들이 이병으로 들어온다”고 했다.
그는 이어 “그러면 의사 업무를 시키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까다로운 법규나 규정들 때문에 병사들에게는 많은 책임을 지울 수가 없고, 이들 역시 빨리 복무를 마치고 나갈테니 단순 업무를 달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지금은 병사들의 근무시간이나 휴식에 대한 보장들이 장교 보다 많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군의관으로 오려는 사람이 없다. 이런 상황이 계속 갈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
한국국방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한국국방연구소 유튜브] |
이 병원장은 이 같은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선지국처럼 ‘예비역 제도’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 같은 경우 저를 가르친 교수님은 4번이나 파병됐다”며 “항공모함뿐 아니라 전방작전기지까지 헬기 타고 이동해서 다친 군인들을 살려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군 의료’라고 하면 다른 것 같지만, 일반인이나 군인 치료하는 프로토콜이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며 “군 의료의 고도화는 민간 의료와의 연계로 가능하다. 민간의 잘하는 부분들을 활용하면서 점점 경계를 없애야 한다”고 밝혔다.
이 병원장은 인구 감소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그는 “한국은 지금 인구 소멸 위기다. 병사뿐 아니라 장교 자원, 조종사 자원, 의사 자원, 간호사 자원이 다 없어지는 것”이라며 “자원이 줄어드는데 효율적으로 운영할 생각을 해야 한다. 군 의료와 민간 의료로 갈라지고, 정부 각 부처마다 병원 따로 만들면 관리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고(高)기동성을 확보해 어디로든 달려가는 군의 특별 그룹을 제외하고는 국가 전체 의료 자원의 틀로 봐야지, 군 의료만 따로 발전시키기는 어렵다. 의료라는 자산을 냉정하게 큰 틀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병원장은 지난 14일쯤 충북 괴산의 한 훈련소에서 열린 의무사관 후보생 대상 강연에서 “한평생 외상외과에서 일했는데, 바뀌는 건 하나도 없더라”며 현 의료 체계를 거세게 비판했다. 그는 또 “조언에는 가망이 없다. 탈조선해라”, “조선은 입만 터는 문과 X들이 해먹는 나라”라고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결국 논란이 커지가 이 뱡원장은 지난 21일 국방부에 ‘군의관들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한 말이지만 결과적으로 죄송하다’는 취지로 말했고, 국방부는 이번 일을 문제 삼지 않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