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UPI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하향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부과했던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겨눈 관세 폭탄은 유지해왔지만, 최근 메시지에서는 기류 급선회가 감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취재진이 ‘얼마나 빨리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내릴 수 있느냐’고 묻자 “그건 중국에 달렸다”며 “향후 2∼3주 안에 우리가 선택할 관세율을 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직접 협상이 이뤄지고 있냐는 질의에는 “그렇다. 매일 하고 있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도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145% 관세가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며 유화적 제스처를 취했다. 그는 “관세가 상당히 내려갈 것이다. 하지만 제로(0%)까지는 아닐 것”이라며 “이 과정은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후퇴는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월마트·타깃·홈디포 등 소매업체 최고경영자들이 지난 21일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관세는) 식품만이 문제가 아니며 매장 진열대가 텅 비게 될 것”이라 경고했다고 했다.
지난 2일 ‘해방의 날’을 선포하고 전 세계에 상호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은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미국 국채시장마저 휘청이자 이를 90일간 유예했다.
조형국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