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트럼프, 자동차업체 일부 관세 면제 방침…무역전쟁 완화 신호"

속보
뉴욕증시 혼조 마감…나스닥 1.61%↑
FT "대중 '펜타닐'·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서 자동차부품 제외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BBNews=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BBNews=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부문에 부과한 관세를 일부 면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또 하나의 후퇴로 해석된다.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몇 주간 이어진 업계 경영진들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일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닐 마약 문제 대응 차원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관세(20%)와 철강 및 알루미늄에 부과한 관세(25%)에서 자동차 부품을 제외하는 조처에 나설 예정이다. 다만 외국산 완성차 전체에 부과한 25% 관세와 5월3일 발효될 예정인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발표한 주요 교역국에 적용한 상호관세에서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는 제외했다. 하지만 펜타닐 등과 관련된 중국 관세에 대해선 별도 면제 조처를 내리지 않았다.

FT는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공격적인 관세 정책에서 또 한 번 후퇴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며 "이번 양보는 미국 자동차 산업체에 승리를 안겨줄 것"이라고 짚었다. 미국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을 상승시키고, 공급망 혼란을 촉발해 고용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관세 면제를 강력하게 요구해 왔다.

FT는 또 "이번 유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호적인 산업에 선택적인 관세 면제를 제공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신호"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산업에 대한 관세 면제에도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에 부과한 관세율(145%)이 상당히 많이 내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미·중 관세전쟁을 본격화한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중국에 대한 유화적인 메시지를 내놓은 것으로, 최근 금융시장 불안이 급속도로 커진 데에 따른 대응 조치로 풀이된다.

외신은 다음 주 트럼프 2기 출범 100일을 앞두고 미국 내 퍼진 비판 여론을 잠재우고 중국과의 무역협상 등 유의미한 성과를 내려는 의도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