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중국 테크업계의 자율주행 신기술이 23일 개막한 세계 최대 자동차 전시회인 상하이모터쇼의 주인공으로 떠올랐습니다. 중국 자율주행 전문 업체 포니AI는 이날 행사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한 ‘7세대 자율주행 플랫폼’을 공개했는데요, “레벨4급에 준하는 이 플랫폼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 규격에 맞게끔 설계돼 양산에도 유리하며 이전 세대에 비해 제작 비용을 70% 줄였다”는 것이 이 업체 측 설명입니다. 플랫폼 설계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응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 기술의 상업화와 보급 촉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죠.
‘중국판 우버’인 차량공유 업체 디디추싱은 광저우자동차(GAC)와 공동 개발한 최초의 레벨4 자율주행 모델을 선보였다. 디디추싱의 차세대 자율주행 하드웨어 플랫폼은 33개의 센서를 탑재한 것이 특징입니다. 펑싱야 GAC 회장은 상용화 시점을 내년 초로 예상하면서 “레벨4급 무인 자율주행 제품을 대량 양산하는 최초의 중국 자동차 회사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중국 테크업계의 자율주행 신기술이 23일 개막한 세계 최대 자동차 전시회인 상하이모터쇼의 주인공으로 떠올랐습니다. 중국 자율주행 전문 업체 포니AI는 이날 행사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한 ‘7세대 자율주행 플랫폼’을 공개했는데요, “레벨4급에 준하는 이 플랫폼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 규격에 맞게끔 설계돼 양산에도 유리하며 이전 세대에 비해 제작 비용을 70% 줄였다”는 것이 이 업체 측 설명입니다. 플랫폼 설계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응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 기술의 상업화와 보급 촉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죠.
‘중국판 우버’인 차량공유 업체 디디추싱은 광저우자동차(GAC)와 공동 개발한 최초의 레벨4 자율주행 모델을 선보였다. 디디추싱의 차세대 자율주행 하드웨어 플랫폼은 33개의 센서를 탑재한 것이 특징입니다. 펑싱야 GAC 회장은 상용화 시점을 내년 초로 예상하면서 “레벨4급 무인 자율주행 제품을 대량 양산하는 최초의 중국 자동차 회사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번 행사에서 글로벌 완성차 업계는 ‘중국 시장 맞춤형 신차’를 대거 공개하며 적극적인 중국 시장 구애에 나섰습니. 독일 BMW는 올해 말부터 중국에 출시되는 신차에 AI 딥시크를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해 주목 받았고, 메르세데스벤츠는 전날 순수 전기차 CLA 롱휠베이스의 중국 현지화 버전을 미리 선보였습니다. 일본 도요타는 이날 중국용 순수 전기 세단 ‘보즈(BZ)-7’을 공개했습니다.
![]() |
"엔비디아 필요없다"…中, AI칩 자립 속도
![]() |
━
'관세 인하' 꺼낸 트럼프에 中 "대화의 문 열려 있어"
![]() |
━
실적 부진에 '결심'했나···머스크, 결국 테슬라로 돌아간다
머스크 CEO의 이 같은 발언은 테슬라의 1분기(1~3월) 실적 발표 직후 나왔습니다. 테슬라는 올 1분기 매출이 193억 35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 감소했다고 발표했는데요. 금융 정보 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의 평균 예상치(211억 1000만 달러)를 밑도는 수준입니다. 특히 자동차 부문의 매출은 20% 급감했습니다. 주당순이익(EPS)도 전망치(0.39달러)에 못 미치는 0.27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줄었습니다. 테슬라는 특히 올해 성장 전망치를 제시하지 않았다. 테슬라는 “2분기 업데이트에서 2025년 지침을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EU '갑질 방지법' 첫 제재···애플·메타에 1조 과징금
집행위는 애플이 앱 마켓인 앱스토어에서 다른 회사의 앱 마켓을 통한 결제를 막는 ‘외부결제 유도 금지’ 조항을 둬 DMA를 위반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메타의 경우 페이스북·인스타그램 이용자 가운데 서비스 이용료를 내지 않은 경우 광고 목적 데이터 수집에 사실상 강제로 동의하도록 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고요. 이에 대해 애플 대변인은 즉각 “집행위가 불공정하게 애플을 겨냥했다”며 불복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혔고 메타 측 역시 “미국 기업에 대한 제약”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외신들은 이번 조치로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는 EU와 미국 간 긴장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 기업을 표적으로 삼을 경우 보복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미국의 경고에도 EU가 역내에서 벌어지는 미국 빅테크의 불공정 행위에 계속 제동을 걸겠다는 의미로 읽힙니다.
![]() |
조양준 기자 mryesandno@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