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제조업 수출 중심 모델 무역 불균형 심화시켜"
"중국을 개도국으로 대우하는 것은 터무니 없는 일"
![]()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 AFP=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23일(현지시간) 미국과 중국 간 빅딜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금융연구소(IIF) 행사에 참석해 중국이 수출 주도형 제조업 성장에서 벗어날 것을 촉구하며 이같이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최근 자료에 따르면, 중국 경제는 소비에서 더욱 멀어지고 제조업으로 더욱 기울어지고 있다"며 "현재 상황이 지속되면 중국의 제조업 수출 중심의 성장 모델은 무역 파트너들과의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의 현재 경제 모델은 수출을 통해 경제 위기를 극복하려는 구조"라며 "이는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해로운 지속 불가능한 모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은 변해야 하며 중국도 변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모두가 알고 있다"며 "우리는 중국이 변화하도록 돕고 싶다. 왜냐하면 우리도 재균형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은 수출 과잉 생산에서 벗어나 자체 소비자와 내수 수요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경제를 전환하는 것부터 시작할 수 있다"며 "이러한 전환은 세계가 절실히 필요로 하는 글로벌 재균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형 합의 기회가 있다"며 "중국이 수출 주도형 제조업 성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경제 중심으로 재균형을 이루겠다는 의지가 있으면 함께 해보자. 이것은 엄청난 기회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베선트 장관은 "IMF와 세계은행은 지속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역할이 확대되면서 본래의 방향에서 벗어났다"며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베선트 장관은 중국에 대한 대출을 중단할 것을 시사했다.
베선트 장관은 "세계은행은 이미 대출 기준을 벗어난 국가들에 대해서도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며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을 '개발도상국'으로 간주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많은 서방 시장을 희생시키면서 빠르고 인상적으로 성장해 왔다"며 "중국이 자국의 실제 위상에 걸맞은 글로벌 경제 역할을 하기를 원한다면 이제는 졸업할 때이며 우리는 그것을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yellowapoll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