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중, 서울서 서해 구조물 논의…정부 "실효적 대응 검토"

속보
한수원 "체코원전 본계약, 5월 7일 프라하에서 체결"
[앵커]

우리나라와 중국이 서울에서 해양협력대화를 열고 중국이 서해에 무단 설치한 구조물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외교부는 비슷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안을 포함해 실효적 대응을 검토한단 입장인데요.

김민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에서 3년 만에 한중 해양협력대화가 열렸습니다.


이번 회의의 주요 의제는 '서해 구조물' 이었습니다.

중국은 최근 3년간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심해 어업 양식 시설'이라 주장하며 무단으로 구조물을 설치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지난 2월엔 중국이 한국의 구조물 조사선을 막아서면서 양국 해경이 대치하는 상황까지 빚어졌습니다.


우리 정부는 이번 대화에서 중국 측에 문제를 제기하고 자제를 촉구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날, 아산정책연구원 행사에 참석한 조태열 외교부 장관도 적극적으로 한국 측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태열/외교부 장관> "서해 문제와 같이 견해 차가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지난달 왕이 부장과의 회담에서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계속 허심탄회하게 우리의 입장을 개진하고 이견을 제기해 나갈 것입니다."


정부는 중국 측의 무단 설치에 비슷하게 맞대응하는 방안도 살펴보고 있습니다.

<조태열/외교부 장관> "비례적 대응 조치를 포함해서 실효적인 대안을 검토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고요."

조 장관은 또 관계부처 대책회의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 범정부적 대응도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경제적 효용성과 여러 가지를 검토해 무엇이 가장 실효적인지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구체적 방안을 거론하진 않았습니다.

양식 시설 설치 비용은 개당 수백억원에 달하고, 어느 수준에서 어떤 시설을 설치해야할지도 따져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서해 내해화를 꾀하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는 중국에 성의 있는 설명과 조치를 지속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입니다.

#외교부 #한중관계 #서해_잠정조치수역 #서해_구조물_설치 #한중해양협력대화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