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MBC 언론사 이미지

'지반침하 안전지도' 만든다더니‥오세훈 "완벽한 지도는 없다"?

MBC
원문보기
서울맑음 / 20.0 °
◀ 앵커 ▶

'땅 꺼짐' 사고가 잇따르자 오늘 서울시가 검사와 정비를 대폭 강화하겠다는 대책을 추가로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이미 작년에도 서울시는 지반 침하 위험도를 예측하는 '안전지도'를 만들겠다고 했지만, 약속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위험지역 정보도 공개되지 않았죠.

또다시 이제부터 만들겠다면서다만 위험지역은 사회적 공감대가 있다면 공개하겠다는 건데, 원석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지난해 8월, 서울 연희동에 길이 6미터·깊이 2미터의 구멍이 뚫렸습니다.


서울 도심 한복판의 '땅 꺼짐' 사고로 운전자 부부가 크게 다치자, 서울시는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만들겠다며 '위험도 공식'까지 공개했습니다.

[김태균/서울시 당시 기획조정실장 (2024년 10월)]
"지반침하 가능성을 지역별로 분석해서 수치화하고 도면화하는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올해 말까지 구축해서 활용할 계획입니다."


약속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땅 꺼짐' 위험도를 다섯 등급으로 나누겠다던 '지반침하 안전지도'는 '우선정비구역도'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상·하수도관 등 도로 아래 시설물 6종과 지반 조건을 담은 '지하 시설'을 분석하는데 그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마저도 "내부 참고용으로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며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강남구 등 8개 자치구가 지반 침하 우려가 크다며 '고위험지역' 50곳을 선정하고, 서울시도 별도로 1천 930km 구간을 조사해 도로 아래 329개 '빈 구멍'을 발견했지만, '보고'하고 '복구'만 했을 뿐 '안전지도'에는 담기지 않았습니다.

대형 '땅 꺼짐' 사고로 배달에 나선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진 지 1달째, 오세훈 서울시장은 '땅 꺼짐' 사고에 대비할 '위험 지도'는 아직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토질을 비롯해서 지하수의 흐름 같은 것을 반영한 완벽한 지도는 사실상 지금까지 제대로 만들어진 적이 없습니다."

서울시는 우선 철도 공사장 5곳과 자치구가 선정한 고위험지역 50곳에 '지표투과레이더' 검사를 실시해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표투과레이더' 장비를 늘리고 '땅 꺼짐'의 주요 원인이 되는 노후 하수관 교체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세훈 시장은 "국토부와 협의해 지반 침하에 대비한 보다 완벽한 지하 지도를 완성하기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면서, 다만 이번에도 "사회적 공감대가 있다면 공개하겠다"고만 말했습니다.

MBC뉴스 원석진입니다.

영상편집: 주예찬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주예찬 원석진 기자(garde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