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내일기금' 조성, 문화예술기부 선순환 모델
[파이낸셜뉴스] 원로배우 신구(89)와 박근형(85)이 청년을 위한 특별 기부공연에 나선다.
두 사람은 지난 2023년 12월 파크컴퍼니 제작으로 국립극장에 올린 사무엘 베케트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호흡을 맞춰왔다. 이 작품은 지난 1년간 전국 21개 도시 투어에서 102회 공연을 전석 매진시키는 대기록을 세웠다. 오는 5월 9~25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마지막 공연을 앞뒀다.
박근형은 23일 서울 종로구 예술가의 집에서 열린 ‘신구, 박근형의 ‘고도를 기다리며’×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 기자간담회에서 “102회차 공연이 매진돼 무척 감개무량했다”며 소회를 밝혔다. 이어 “고마움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하다가 아르코와 협업하게 됐다"며 "여전히 열악한 연극계에 작은 보탬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연극내일기금’ 조성에 미미한 힘을 보태게 됐다”고 말했다.
![]() |
정병국 위원장(왼쪽부터)과 배우 신구, 박근형이 23일 서울 동숭동 예술가의집에서 진행된 '신구, 박근형의 X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뉴스1 |
[파이낸셜뉴스] 원로배우 신구(89)와 박근형(85)이 청년을 위한 특별 기부공연에 나선다.
두 사람은 지난 2023년 12월 파크컴퍼니 제작으로 국립극장에 올린 사무엘 베케트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호흡을 맞춰왔다. 이 작품은 지난 1년간 전국 21개 도시 투어에서 102회 공연을 전석 매진시키는 대기록을 세웠다. 오는 5월 9~25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마지막 공연을 앞뒀다.
박근형은 23일 서울 종로구 예술가의 집에서 열린 ‘신구, 박근형의 ‘고도를 기다리며’×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 기자간담회에서 “102회차 공연이 매진돼 무척 감개무량했다”며 소회를 밝혔다. 이어 “고마움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하다가 아르코와 협업하게 됐다"며 "여전히 열악한 연극계에 작은 보탬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연극내일기금’ 조성에 미미한 힘을 보태게 됐다”고 말했다.
신구는 “연극계는 우리 활동하던 시절과 달라진 게 거의 없을 정도로 열악하다”며 “이번 특별 기부 공연을 계기로 조성되는 '연극내일기금'의 시작은 비록 미미하나 그 결론은 장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는 5월13일 오후 7시 공연은 19세~39세 청년 관객을 대상으로 한 특별공연으로 진행된다. 공연 후에 보이그룹 샤이니 출신 배우 최민호가 재능 기부 형태로 진행을 맡고 신구, 박근형, 오경택 연출가가 참여하는 관객과의 대화를 진행한다.
특별 기부 공연은 앞서 예매 시작 2분 만에 매진된 상태로 티켓 수익금은 청년 연극인을 지원하기 위한 ‘연극내일기금’으로 전액 기부된다. 연극내일기금은 청년 예술가 지원을 해온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운영할 예정이다.
연극, 한류 원조..열악한 연극계 살려야..연극내일기금 조성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정병국 위원장은 이날 “오늘날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데, 보이지 않는 곳에서 피나는 노력을 한 사람 중에 신구, 박근형 선생님이 계신다”며 K컬처 발전의 밑바탕이 된 연극과 연극배우의 노고를 언급했다.
이번 공연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하나는 순수예술에 대한 관심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젊은 세대에게 연극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연극내일기금'을 조성해 연극계 발전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마련한 것이다.
정병국 위원장은 “지난해 처음으로 19세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문화카드를 발급했는데, 발급률은 80%를 상회하는데, 사용률이 30% 남짓에 불과했다”며 “왜 사용하지 않는지 알아보니 순수예술을 접할 기회가 없고, 흥미가 적다고 하더라. 두 선생님의 연극을 보고 어떤 생각을 할지 궁금하다”며 이번 특별 공연이 순수예술에 대한 청년 관객의 관심을 이끄는 계기가 되길 바랐다.
![]() |
배우 신구, 박근형(오른쪽)이 23일 서울 동숭동 예술가의집에서 진행된 '신구, 박근형의 X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신구(89)와 박근형(85)의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는 청년을 위한 특별 기부 공연으로 기획됐다. 뉴스1 |
또 정 위원장은 “‘연극내일기금’은 단순한 후원을 넘어 창작, 제작 중심의 기존 지원체계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돼 있던 청년 배우들을 위한 현장 맞춤형 훈련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보급하는데 집중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문화예술계에서 연극 장르는 특히 열악하다. 다들 정부 지원에 목을 매는데, 정부 예산 지원 액수만 따지면 그 어떤 나라보다 많은 편이다. 그런데 예술 후원 비중이 30%에 달하는 영국이나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이 비중이 낮다. 문화예술기부 활성화를 위해 여러 노력을 했는데 쉽지 않더라. 이번 특별 기부 공연이 새로운 기부 모델을 만들어 준 것 같다. 연극내일기금을 통해 이뤄지는 젊은 연극 배우 대상 재교육 프로그램이 명실공히 우리 연극계 대표 교육 프로그램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근형 역시 “우리가 활동하는 동안 이 캠페인을 지속할 것”이라며 “흥행이 잘되는 연극의 제작자나 동료들도 동참해 기부금이 늘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연극은 한류의 원조"라며 K컬처가 풍성해지려면 연극계 역시 풍성해져야 한다며 많은 관심을 바랐다.
정병국 위원장은 "향후 더 많은 후원이 이어진다면, 지원 대상을 배우뿐 아니라 연극계 전반으로 확대해, 우리 연극의 미래를 위한 토양이 될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특별 기부 공연이 모든 연극인들, 나아가 문화예술계, 그리고 국민의 심금을 울리고, 그 결과가 새로운 씨앗이 돼 큰 예술나무를 키워내지 않을까 싶다“며 기대감을 표했다.
#연극 #신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박근형 #고도를 기다리며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