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경향신문 언론사 이미지

네이버, ‘저비용·고효율’ 자체 AI 모델 무료 배포···“소버린 AI 이끌 것”

경향신문
원문보기
서울흐림 / 10.0 °
경향신문

네이버가 자체 인공지능(AI) 모델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을 24일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저비용·고효율 모델을 무료 배포해 국내 AI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소버린(주권) AI’ 구축을 선두에서 이끌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롭게 개발한 경량 모델과 함께 네이버의 소버린 AI 전략을 소개했다.

이날 공개된 모델은 총 3종이다. ‘하이퍼클로바X 시드 3B’는 텍스트 외에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모델이다. 해당 모델의 9개 벤치마크(성능 시험)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미국·중국 빅테크 기업의 비슷한 규모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하이퍼클로바X 시드 1.5B’는 탁월한 한국어 능력을 기반으로 번역이나 교열 등에, 가장 작은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 시드 0.5B’는 대화형 서비스 구현에 적합하다. 0.5B의 경우 소규모 스타트업이 쓰기에도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이라고 한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총괄은 “AI 모델은 커지면 커질수록 기능이 좋아지지만 비용 문제가 있다”며 “기존 IT(정보기술) 서비스를 AI로 가볍게 전환하는 데는 이런 작은 모델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3종의 경량 모델을 연구용을 넘어 상업 목적으로도 쓸 수 있도록 빗장을 풀었다. 국내 기업의 주요 생성형 AI 모델 중에서는 처음이다. 자본이 충분하지 않은 스타트업이라도 이를 활용해 서비스를 키워나가다보면 결국 국내 AI 생태계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상반기 중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한 추론 모델도 선보일 예정이다. 다만 추론 모델까지 오픈소스로 공개할지는 아직 논의 중이다.

네이버는 각종 AI 기술의 토대가 되는 플래그십 모델 역시 지속적으로 고도화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성 기술총괄은 “경량 모델이 가능해진 것은 플래그십 모델이 업데이트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지능의 확장과 감각의 확장이라는 측면 모두에서 꾸준히 확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네이버의 소버린 인공지능(AI)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제공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국가·기업의 독립적 AI 역량인 소버린 AI의 구축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우크라이나가 미국 스페이스X의 위성통신 서비스 스타링크에 의존했다가 미국의 ‘차단 협박’을 당한 것을 예로 들며 “AI는 있으면 좋고 없으면 마는 게 아니라 한 국가와 사회의 안보에 필수적 요소”라면서 “남의 의지에 의해 꺼지거나 방향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은 무서운 일”이라고 말했다.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소버린 AI를 개발하겠다고 한 것을 두고는 “외산을 들여와 상표를 붙인다고 소버린이라고 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성 기술총괄은 최근 미 스탠퍼드대 인간중심인공지능연구소(HAI)가 2024년 AI 보고서에서 하이퍼클로바X를 누락한 데 대해 “기술 고도화에 바빠 테크니컬 리포트(AI 모델 세부 정보를 소개하는 논문)를 쓰는 데 소홀했다”며 “알리지 않으면 잘 모른다. 이번 행사도 그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달 초 발표된 HAI 보고서에는 LG의 엑사원이 한국 AI 모델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성 기술총괄은 네이버의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저희가 실리콘밸리 빅테크만큼 AI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은 투자 때문이지 기술력 때문이 아니다”라며 “AI 인재가 없는 게 아니라 GPU(그래픽처리장치)가 없는 것이고, 그것은 수요와 경제 규모가 작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최민지 기자 ming@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