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위에서 GPR 장비를 점검하고, 지하 35m 지점 공사 현장으로 내려가 CCTV와 시설 관리 상황 등을 직접 살펴봤습니다.
오 시장은 노후 상하수관과 지하 굴착 공사장 두 가지를 다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노후 상하수도관 누수가 땅 꺼짐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지만, 최근 대형 사고는 대형 굴착공사장 근처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란 설명입니다.
오 시장은 이를 위해 GPR 장비를 세 대 더 늘리고, 대형 굴착공사장 주변에 월 1회 GPR 탐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 결과는 바로 시 홈페이지에 공개하겠다고도 했습니다.
또 지반 침하 사고 관리 강화를 위해 서울시에 직원 30명 규모의 '지하안전과'도 신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노후 하수도관 누수와 관련해서는 지금까지는 연간 2천억 원을 들여 100㎞씩 개량했지만 내년부터는 2배 규모로 예산을 늘려, 연 200km 정도씩 교체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노후화되는 하수도관이 매년 150km씩 발생하는데 그 이상 선제적으로 정비하겠다는 겁니다.
오 시장은 서울시가 땅 꺼짐에 대비하려 제작한 '우선정비 구역도'를 공개하지 않는 것이 부동산 가격을 의식해서는 아니라면서, 이 지도가 지하수 흐름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취재 : 윤나라, 영상취재 : 김원배, 영상편집 : 원형희,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윤나라 기자 invictus@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