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2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성당에서 수녀가 건물 외벽에 붙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진을 바라보고 있다. /뉴스1 |
88세로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남긴 재산은 100달러(약 14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르헨티나 매체 암비토는 유명인 순자산(셀레브리티 넷워스) 전문 사이트를 인용해 22일 이같이 보도했다. 교황은 첫 예수회 출신 성직자로서 청빈한 삶을 실천하는 가난 서약을 했다. 이에 통상 추기경은 4700달러(671만원)에서 5900달러(843만원) 사이 월급을 받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3월 즉위 후 교황청에서 무보수로 봉사했다.
1936년 아르헨티나 철도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난 교황은 평생 검소하게 살았다. 추기경에 서임된 후에도 작은 아파트에서 살며 빈민 활동을 해왔고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교황명을 최초로 ‘프란치스코’로 지은 것도 이런 성품을 드러낸다. ‘가난한 사람들의 성자’로 불리는 프란치스코(1181∼1226) 성인에게서 따온 것으로, 그는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잊지 않기 위해 이 즉위명을 선택했다고 밝힌 바 있다.
교황은 화려한 바티칸 내 교황 전용 숙소를 마다하고 교황청 사제들의 기숙사인 ‘성녀 마르타의 집’에서 지냈다. 교황의 상징인 황금 십자가 대신 낡은 십자가를 목에 걸었고, 화려한 빨간 구두 대신 평범한 검은색 구두를 신었다.
![]() |
2014년 4박 5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서울공항에서 광화문을 거쳐 주한 교황 대사관으로 향하는 중 기아차 쏘울에 탑승해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뉴스1 |
이런 소탈함은 2014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 볼 수 있다. 국빈용 고급 의전 차량 대신 기아의 ‘소울’ 차량을 이용했다. 방한 당시 교황이 착용한 20년 된 철제 십자가, 낡은 구두와 오래된 가방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마지막까지 “무덤은 땅속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해야 한다. ‘프란치스코’라는 이름만 남겨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교황의 장례식은 그의 바람대로 26일 바티칸에서 간소하게 치러진다. 그는 생전 장례법을 개정해 절차를 대폭 줄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일반적인 교황의 묘지로 알려진 성베드로 성당이 아닌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 안장될 예정이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최혜승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