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중앙통신/연합] |
[헤럴드경제=김주리 기자] 국가정보원은 22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최근인 조용원 당 조직비서가 최근 공식석상에서 자취를 감춘 것과 관련해 신상 변동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조용원과 리일환(당 선전비서)이 최근까지 공개활동에 나서지 않고 있어 신상 변동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 동향을 주시 중”이라고 밝혔다.
조 비서가 마지막으로 북한 매체에서 식별된 것은 지난달 1일 지방공업공장 착공식에서다. 그는 국가 명절인 김일성 주석의 생일(태양절·4월 15일) 행사에서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도 기자들과 만나 조 비서와 리 비서가 식별되고 있지 않은 것과 관련 “신상 변동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 동향을 지켜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조용원은 김정은의 최측근에서 활동했는데, 벌써 두 달 가까이 활동이 없다는 상황 자체가 개인적인 신상 문제가 아니라면 좀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조용원은 김정은 집권 이후 해임과 강등, 복권을 번갈아 당하며 롤러코스터를 탄 당·정·군 다른 고위 간부들과는 다르게 단 한 번도 출세가도에서 밀린 적이 없는 최측근이다. 김정은의 수해 복구 현장 방문 수행 당시 김정은 앞에서 한쪽 주머니에 손을 넣고 있는 모습이 북한 매체에 공개됐는데도 ‘무탈’했던 간부였다.
아울러 리일환 당 선전비서 역시 올해 1월 2일 김 총비서가 노력혁신자 및 공로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공개 행보에 동행한 것을 끝으로 북한 매체에서 식별되지 않고 있다.
이렇게 당 비서들이 갑자기 자취를 감춘 것을 두고 북한 내부에서 당 비서들 및 고위 간부들에 대한 당 차원의 검열이 진행 중이고, 이에 이들이 연루됐을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검열 결과에 따라 경질이나 근신 등의 조치가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 당 비서의 신상 변동의 가능성에 대해 “과거 사례를 보면 노령으로 은퇴, 지병 발생, 혁명화 교육, 숙청 등 다양한 경우가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