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HN 이종헌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재차 압박하고 있다.
지난 21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서 파월 의장을 "중대 실패자"라고 비난하며 금리 인하를 강력히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하락하고 다른 품목들도 가격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어 사실상 인플레이션은 없다"라며, "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인하하지 않으면 미국 경제가 둔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유럽중앙은행(ECB)이 7차례 금리를 인하한 사례를 언급하며, "파월 의장은 항상 너무 늦게 움직인다"고 비판했다.
![]() |
美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 |
이와 같은 트럼프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파월 의장은 고율의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촉진하고,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제 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계속해서 제기해왔다.
특히 지난 16일 시카고 경제클럽 연설에서 "현재의 관세가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를 유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백악관에서 열린 이탈리아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내가 파월에게 사임을 요구하면 그는 물러날 것"이라며 파월 의장에 대한 압박을 지속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의 금리 인하 압박이 자신의 경제 정책에 따른 부작용을 연준에 떠넘기려는 의도로 해석되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
이와 같은 상황에 금융시장은 큰 반응을 보였다. 특히 달러화의 가치가 급락하고, 안전자산인 금의 수요가 급증했다.
달러 인덱스는 98.5선까지 떨어졌으며, 한때 97.9까지 하락해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금값은 온스당 3400달러를 넘으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나스닥은 2.55%, 다우는 2.48%, S&P500은 2.36%, 각각 하락하며 2% 이상의 낙폭을 기록했다.
과거 1970년대 닉슨 행정부와 2018~2019년 트럼프 행정부의 사례는 중앙은행 독립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1970년대 초 닉슨 대통령은 아서 번스 연준 의장에게 완화적 통화정책을 강하게 요구했으며, 실제로 연준은 1971~1972년 금리 인하와 통화공급 확대에 나섰다.
이 조치로 단기적으로는 경기 부양 효과가 있었으나, 1973~1974년 인플레이션이 9.6~11.8%까지 치솟았고, 이후 오일쇼크까지 겹치며 미국 경제는 장기간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고인플레이션)에 시달렸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경험이 정치적 압력이 중앙은행의 신뢰를 훼손할 경우 경제에 장기적 고통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한다.
2018~2019년에도 유사한 상황이 반복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했으나, 파월 의장은 당시 인플레이션이 2%를 밑돌고 있다는 점을 들어 신중한 금리 인상 및 동결 기조를 유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의 지속적인 압박과 무역 관세 정책은 시장에 불확실성을 키웠고, 달러 약세와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등 부정적 영향을 초래했다.
금리 인하는 주식과 부동산 시장을 단기적으로 자극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억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를 낮추면 오히려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역시 공급망 비용을 높여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를 동시에 유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대로 연준이 정치적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상할 경우, 경기 둔화와 실업률 상승, 소비 위축 등 또 다른 경제적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연준의 금리 정책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라는 딜레마에 직면해 있으며,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훼손될 경우 그 피해는 단기적 시장 변동을 넘어 장기적 경제 안정성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
한편, 에버코어의 크리슈나 구는 "만약 연준 의장을 해임하려 한다면 강한 시장 반응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파월 의장은 자신의 임기 동안 금리를 인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연준의 독립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저작권자 Copyright ⓒ MHN / 엠에이치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