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오후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우치리 화학산에 건설된 4.7㎿(메가와트)급 풍력발전기 타워가 쓰러져 있다. 연합뉴스 |
전남 화순군 야산에 설치된 대형 풍력발전기 타워(지지대)가 엿가락처럼 휘어버린 이례적인 사고가 발생했지만 사고 원인을 규명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2일 화순군에 따르면 전날 오전 2시 50분쯤 화순군 도암면 우치리 화학산 능선에 세워진 높이 127m짜리 4.7㎿ 발전기 1대가 구부러졌다.
발전기는 민간인 출입 불가 지역인 개인 사업체 내부에 있어 인명피해는 없었다.
사고 발전기는 해당 발전소 총 11대의 발전기 가운데 11번째 발전기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고가 난 발전기는 지난 2023년 6월 30일에 설치됐다. 민간 사업자인 A사는 당시 발전 용량 4.7㎿짜리 풍력발전기 11기에 대한 설치 공사를 마치고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A사는 정부로부터 최초 발전사업 허가는 2014년 받았지만 환경영향평가나 개발행위 허가 등 후속 절차와 주민 반대 민원을 해결하는 데 5년 넘게 걸려 2020년 3월에서야 기초공사를 시작할 수 있었다.
공사를 시작한 A사는 풍력발전기 구성품 일체를 독일 제작사(지멘스가메사)에서 모두 수입했다. 구성품을 현장에서 조립 및 설치하는 작업도 제작사에서 파견한 기술자가 감독했다.
![]() |
21일 오후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우치리 화학산에 건설된 4.7㎿(메가와트)급 풍력발전기 타워가 쓰러져 있다. 연합뉴스 |
화순군 등은 사고원인에 주목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한 도암면 우치리 화학산과 가장 가까운 기상 관측 지점인 화순군 이양면의 21일 오전 2시 날씨는 기온 14.8도, 10분 평균 바람 1.7㎧, 순간풍속 2㎧며 발효된 기상특보 사항 없었다. 기상청 관계자는 “사고 당시 해당 지역은 바람 없는 잔잔한 날씨였다”고 설명했다.
강한 태풍 등에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풍력발전기의 타워부분이 잔잔한 날씨 속에 부러졌다는 건 제작단계나 시공단계에서 발생한 구조적인 결함이 아니겠느냐는 추측도 나온다.
아울러 특정 블레이드(날개)가 돌아가는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균형이 흔들렸고 이 충격이 타워에 가해지면서 전도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A사는 이번 사고 원인도 제작사가 직접 확인해야 할 사안으로 보고 기술자 파견 일정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A사 관계자는 “제품을 만든 제작사가 봐야 무엇이 문제인지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저희 자체적으로 사고 원인을 조사하기는 힘들다”고 설명했다.
다만 제작사 측이 이번 사고 원인을 제대로 밝힐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제품 결함 등 자사에 불이익이 될 수 있는 결론을 내릴 가능성은 낮은 탓이다.
화순군 관계자는 “날개가 떨어지는 등 전국에서 풍력발전 사고는 종종 발생했지만, 타워가 쓰러진 것은 태백 이후 2번째로 알고 있다”며 “다행히 인명피해나 주민 재산 피해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재발하지 않도록 원인 규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다리 아프지 누워서 자거라’. 21일 오후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우치리 화학산에 건설된 4.7㎿(메가와트)급 풍력발전기 타워가 쓰러져 있다. 연합뉴스 |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