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北 돌아가겠다"는 데도…'서해 표류 주민' 송환 요청 무관심한 북한

속보
김문수, 오전 9시40분 긴급 기자회견…대선후보 취소 입장 밝힐 듯

정부 "여러 방법으로 대화 시도했으나 무응답…이례적 상황"

판문점 내 확성기 통지는 시도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져



기사와 무관한 사진 /뉴스1 ⓒ News1 윤왕근 기자

기사와 무관한 사진 /뉴스1 ⓒ News1 윤왕근 기자

(서울=뉴스1) 임여익 기자 = 우리 정부가 지난달 초 서해에서 표류하다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진입한 북한 주민들의 송환을 추진 중이지만 한 달 반이 되도록 북한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이번 상황이 '이례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22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북한 측에 연락을 시도해 봤으나 현재까지 아무 답변이 없다"면서 "과거 사례와 비교하면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밝혔다.

앞서 우리 군은 지난달 7일 서해상에서 북한 남성 2명이 탄 소형 목선을 발견했다. 이들은 목선 고장으로 표류하다 남쪽으로 진입했으며, 국가정보원 등이 실시한 합동심문 등을 통해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정부는 북한 주민의 의사를 존중해 관례적으로 이들을 돌려보내기로 했지만, 북한의 무관심으로 송환 시기와 방식 등을 소통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과거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채널, 군 통신선 등을 통해 관련 사안을 소통했으나 북한이 남북관계를 단절하면서 현재 이 채널은 정상 가동되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는 유엔군사령부 채널(핑크폰)으로 소통을 시도했지만, 북한의 반응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 정보 당국 간 채널의 가동 여부는 불확실하다. 현실적으로 남은 마지막 방법은 '대면 통지' 방식이 있다. 이는 판문점 내에서 휴대용 확성기로 북측에 송환 일정을 통보하는 것이다. 남북과 유엔사는 과거 합의를 통해 이같은 통보 시 상대방의 '응답'이 없어도 통보의 효력이 있는 것으로 간주해 왔다.


실제 남북 간 공식 채널이 단절됐던 지난 2017년 5월, 정부는 동해상에서 조난된 북한 선원 6명을 송환하기 위해 판문점에서 확성기 통보를 한 뒤 선원들을 타고 온 선박에 태워 해상으로 돌려보낸 사례가 있다.

다만 정부는 경색된 남북관계로 인해 우리 측이 통보한 일정에 북측 인사가 나오지 않아 송환이 무산되는 상황을 우려해 아직 확성기 통보는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북측과 접촉할 방법이 없어 답답한 상황"이며 "북한이 우리 언론 보도를 보고 응답할 가능성 등 여러 방안을 열어놓고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plusyou@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