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 "한덕수 용병 데려와 선거 치른다는 국힘, 정당 포기 선언한 것"
"文검찰개혁 못한 것 아쉬워…빛의혁명 세력, 국정운영 참여해야"
![]() |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서울 영등포구 선거사무소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 News1 김민지 기자 |
(서울=뉴스1) 김지현 심언기 한병찬 기자 =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최근 '대선 출마' 대상으로 거론되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 대해 "스스로의 불행을 자초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김 후보는 21일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가진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한덕수 대행은 대통령 권한대행이 아닌 내란 우두머리 대행을 하면서 자신의 정치적 발판이 될 수 있을지를 저울질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는 국민의힘에 대해서도 "정당의 기본적인 조건까지 스스로 저버렸다"며 "용병을 데려와서 선거를 치르겠다는 발상 자체가 '정당이 아니다'라는 '정당 포기 선언'을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으로 끼친 국가적 손해에 대해서도 반성하지 않고 있다"며 "이는 한국 보수 정치의 불행"이라고 주장했다.
경선 과정과 관련해 일각에서 제기된 '착한 2등 전략'에 대해서는 "착한 2등을 하려는 것이면 선거에 나가면 안 된다"면서도 "당내 경선에서의 네거티브는 서로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것"이라고 했다.
내란 세력에 대한 단죄가 정치 보복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이건 정치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당시를 회상하며 "검찰개혁과 같은 사회 개혁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에 "이번에 정권교체가 이뤄지면 빛의 혁명 과정에 함께 했던 세력들이 국정 운영에도 함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김경수 후보의 일문일답.
-계엄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이다. 이번 대선에 임하는 각오가 남다를 것 같다.
▶이번 선거 이후 들어서는 정부는 갈등을 치유해야 하고 내란 세력을 단죄해야 하며 사회 대개혁도 이뤄내야 하는 대단히 어려운 선거다. 그러므로 경선에서부터 국가적 위기 상황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이번 민주 정부는 빛의 혁명에 참여했던 정당이나 세력들이 국정 운영 과정까지 반드시 힘을 모아서 함께 해야 어려운 고비를 넘을 수 있다. 저 또한 그 과정에서 계속해서 할 수 있는 역할 찾을 것이다.
-보수 진영에서 최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설이 돌고 있다. 한 대행 출마설에 대한 의견이 궁금하다.
▶한덕수 대행이 대통령 권한대행 해야 하는데 지금 내란 우두머리 대행을 하고 있다. 자신의 정치적 발판이 될 수 있을지를 저울질 하고도 있다. 이는 한덕수 대행이 스스로의 불행을 자초하는 일이다. 나아가 국민의힘이라는 정당이 정당으로서 기본적인 조건까지 스스로 저버렸다고 생각한다. 용병을 데려와서 선거를 치르겠다는 발상 자체가 '우리는 정당이 아니다'와 같은 정당 포기 선언이라고 본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과 내란으로 끼친 국가적 손해나 악영향에 대해서도 전혀 반성하지 않고 있다. 이는 한국 보수 정치의 불행이다.
-내란 세력을 단죄해야 한다는 의견에 일각에서는 '정치 보복'이라는 주장을 제기한다. 후보님에 대한 의견이 궁금하다.
▶내란 세력의 단죄는 정치 보복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지킬 수 있느냐의 문제다. 내란 세력을 단죄하지 않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겠는가. 지금은 민주주의 문제로 보는 게 맞다. 문재인 정부 때 검찰개혁과 같은 부분에는 아쉬움이 있는 게 사실이다. 촛불혁명으로 들어선 정부가 국정운영 하는 과정에서도 촛불혁명에 참여한 권력과 함께 촛불 연정 펼쳤으면 검찰개혁과 같은 사회 대개혁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수 있었다. 그런 아쉬움 때문이라도 정권교체가 이뤄지면 이번 정부는 빛의 혁명 과정에 함께 했던 세력들이 국정 운영에도 함께 해야 한다.
![]() |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서울 영등포구 선거사무소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
-경선에서 후보 간 비판과 지적이 부족하다는 평가와 함께 김경수·김동연 후보가 '착한 2등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등 선거 전략은 선거 지침서 등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려면 선거에 안 나가는 게 맞다. 선거에 출마한 사람은 '내가 1등 되겠다'는 목표로 선거를 치러야 한다. 나아가 당내 경선에 대한 오해가 있다. 당내 경선은 본선 경쟁력을 높이는 과정이다. 본선에서는 경선에 통과한 우리당 후보를 자기 선거를 치르는 것처럼 함께 뛰어다니는 게 당내 경선의 기본 원칙이다. 그게 민주주의의 원칙이다. 당내 경선에서 네거티브를 하면서 서로의 경쟁력을 갉아먹고 감정적으로 완전히 갈라지는 것이 무슨 당내 경선인가. 경선으로 민주당을 지지하는 지지층을 확대해서 최종적으로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선에서 다른 후보가 승리할 경우 후보님의 중장기적인 플랜이 궁금하다.
▶실제 선수로 뛰는 입장에서 아까 말했던 대로 착한 2등 전략은 없다. 남아있는 일주일간 혼신의 힘을 다해서 선거를 치러야 한다. 그래야 우리 당원들도 낙선한 후보들이 본선 승리를 위해 힘을 보탤 사람이라고 평가할 것이다. 그 과정을 얼렁뚱땅해서야 되겠나. 지금은 경선에 전력을 쏟는 게 가장 중요하다. 과거 고 노무현 대통령은 '내 선거처럼 발 벗고 나오겠다'고 했다. 이제는 민주당 경선에 그런 기본 원칙을 확립해야 한다. 당선된 후보가 찾아오지 않더라도 백의종군해서 본선에서 이기기 위해 노력하는 게 맞다.
-이재명 후보와 후보님의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비전과 정책에서 차이가 많다. 저는 인수위 없이 출범을 해야 했던 문재인 정부에서 출범 과정에 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번 정부도 인수위가 없이 바로 출범해야 하기 때문에 앞선 경험을 가진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고 생각한다.
☞김경수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1967년 경남 고성에서 태어난 김경수 후보는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 진학해 학생운동에 참여하며 민주화운동에 앞장섰다. 졸업 후 1994년 신계륜 국회의원 정책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국정상황실 행정관, 연설기획비서관, 공보담당비서관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남 김해시 을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 더불어민주당 전국 최다 득표율을 기록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상남도지사로 당선돼 도정을 이끌었다.
mine12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