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얀마 사가잉 지역의 피해 사찰 모습. 조계종 제공. |
“스님의 70% 정도가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군 징집을 피해 젊은 남자들도 고국을 떠난 터라 나라가 텅텅 빈 듯했습니다. 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더위에도 이재민들은 구호 물품을 받기 위해 텐트를 떠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미얀마에서 지진 피해 구호 활동을 벌이고 돌아온 묘장 스님이 전한 미얀마의 실상이다.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 묘장 스님은 20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전법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계종 미얀마 지진 피해 긴급구호 합동선발대의 현지 활동 상황을 전했다.
![]() |
미얀마 지진 피해 사찰을 방문한 선발구호대 모습. 조계종 제공. |
긴급구호대는 지난 8일부터 16일까지 진앙인 미얀마의 만달레이와 사가잉 지역 등을 방문해 총 4600만원가량의 구호 물품을 전달하고 봉사 활동을 벌였다.
묘장 스님은 “2021년 군부 쿠데타 영향으로 내전과 경제난을 겪는 미얀마 국민들은 이번 지진으로 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며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는 긴급 지원을 약속했지만, 미얀마 군부와의 관계 때문에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 이사장인 묘장 스님이 21일 서울 종로구 전법회관에서 미얀마의 지진 피해 복구 실상을 전하고 있다. |
지난 3월 28일 발생한 미얀마 지진은 규모 7.7의 강진으로, 현재까지 3500명 이상 사망자가 확인됐다. 실종자와 중상자까지 합치면 사망자 숫자는 최대 535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묘장 스님은 “긴급구호대 파견 결과를 토대로 미얀마 현지 상황에 적합한 추후 지원 방향과 구호 활동에 대해 계획을 수립하는 중”이라며 “국내 종교계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손원천 선임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