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T 허훈. KBL |
대구 한국가스공사는 20일 오후 수원에서 열린 2024-2025 KCC 프로농구 수원 KT와 6강 플레이오프 최종 5차전에서 근소하게 끌려가던 흐름을 3쿼터 초반에 뒤집었다.
3쿼터 시작과 함께 정성우의 3점포가 불을 뿜었고 3쿼터 중반에는 김낙현이 3점슛을 3개 연속으로 터뜨렸다. 스코어는 62-55로 벌어졌다.
KT의 아시아 쿼터 가드 조엘 카굴랑안은 한국가스공사 샘조세프 벨란겔의 강한 압박을 받으며 하프코트를 넘어오다가 스핀 과정에서 공을 뒤로 흘리는 실수를 했다. 공은 KT의 수비 코트로 넘어갔다. 벨란겔은 자신이 공을 건드리지 않았다며, 하프코트 바이올레이션이라고 주장했다. 반대로 카굴랑안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카굴랑안은 고개를 떨구기만 했고 흘러가는 공을 잡거나 건드리지 않았다. 그 상황에서는 공격권을 가진 선수가 공을 터치해야만 하프코트 바이올레이션이 선언되면서 볼 데드 상황이 된다. 그 과정이 없자 벨란겔은 인플레이 상황이라 파악하고 뛰어나가 공을 잡고 속공을 하려고 했다.
이때 갑자기 휘슬이 들렸다. 볼 데드 상황이 됐다. 카굴랑안이 공을 터치하지 않았다고 생각한 벨란겔은 크게 아쉬워 했다. 만약 인플레이 상황이 지속됐다면 한국가스공사가 쉽게 득점을 기록할 수 있는 기회였다.
KBL은 해당 장면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카굴랑안이 공을 흘린 직후 하프코트 바이올레이션을 의심한 심판이 있었다. 카굴랑안의 신체와 공이 닿았을 수 있다고 판단했는지 휘슬을 살짝 불었다. 그게 실수였다. 소위 말해 '휘슬이 샌 것'이다.
그 휘슬은 카굴랑안의 플레이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 카굴랑안이 그 소리를 듣고 공을 잡으려는 시도를 포기했을 수 있다. 명확한 상황은 아니었다. 그래서 반대쪽에 있던 심판이 휘슬을 크게 불고 상황을 명확하게 정리하기 위해서 아예 볼 데드를 선언했다.
심판의 실수가 분명했다. KBL도 추후 인정했다. 해당 장면이 하프코트 바이올레이션 상황인 것도 분명했다. 그래서 심판진은 비디오 판독 절차 없이 바이올레이션을 선언했고 벨란겔에게 공이 있었기 때문에 한국가스공사의 공격권을 선언했다.
요약하면 첫 휘슬이 잘못 불린 것이다. 이후 1분 동안 한국가스공사는 흔들렸다. 재개된 공격권에서 정성우가 실책을 범했고 문정현의 자유투 득점, 박준영의 3점슛 등이 이어지면서 한국가스공사의 9점 차 리드가 될 수 있었던 상황이 2점 차로 좁혀진 채 3쿼터가 끝났다.
그렇지만 한국가스공사는 벌어진 상황들을 뒤로 하고 경기에 몰입했다. 4쿼터 막판 곽정훈의 벼락같은 3점슛, 김준일의 골밑 득점이 연이어 터지면서 한국가스공사가 76-73으로 앞서갔다. 그러나 KT는 카굴랑안의 3점슛으로 동점을 만든 뒤 곧바로 이어진 수비에서 벨란겔의 슈팅을 막아냈다.
이후 허훈이 종료 2.8초 전 왼쪽 45도 지역에서 고난도의 풀업 점퍼를 성공시켜 승부의 균형을 깼다.
강혁 한국가스공사 감독은 마지막 작전타임에서 선수들이 지쳤다는 사실을 감안했는지 연장전에 가면 안 된다며 3점슛으로 승부를 보자고 했다. 이날 감각이 좋았던 김낙현에 대한 수비 압박이 강했고 대신 앤드류 니콜슨이 마지막 3점슛을 시도했지만 불발되면서 그대로 승부가 결정됐다.
KT는 한국가스공사를 78-76으로 누르고 시리즈 전적 3승 2패로 4강 플레이오프 진출을 결정했다.
![]() |
KT 허훈. KBL |
![]() |
KT 허훈. KBL |
![]() |
KT 카굴랑안과 한국가스공사 벨란겔. KBL |
대단한 시리즈였다. 5위 한국가스공사는 대체 외국인 선수 만콕 마티앙의 눈부신 활약에 힘입어 수원 원정 1차전을 잡아내는 저력을 발휘했다. 그러나 마티앙은 2차전에서 부상을 당했고 한국가스공사는 흐름을 이어가지 못한 채 2차전을 내주고 말았다.
이후 마티앙은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못했다. 발목 부상 때문이었다. 강혁 감독은 3차전에서 판정에 항의하다가 퇴장 조치됐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한국가스공사는 홈 4차전을 잡아내고 승부를 수원까지 끌고왔다. 그러나 마지막 고비를 넘기지 못했다.
KT의 경기력은 그리 인상적이지 않았다. 이번 시리즈에서 상위 시드(정규리그 4위)의 위용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만약 마티앙이 다치지 않았다면 시리즈 양상은 크게 달라졌을 여지가 있다.
허훈만큼은 왜 자신이 KBL 톱클래스 가드인지를 증명했다. 고비였던 대구 원정 3차전에서 35득점 원맨쇼로 팀 승리를 이끌었고 마지막 5차전에서는 시리즈의 향방을 결정짓는 위닝 샷으로 KT의 4강 진출을 견인했다.
KBL 농구에서는 반드시 3점이 필요하지는 않은, 야투 1개가 절실한 상황에서는 보통 외국인 선수에게 공을 맡긴다. KT는 달랐다. 서동철 전 감독 시절부터 허훈이 중요한 승부처 아이솔레이션을 맡은 경우가 있었다. KBL에서 자주 보기 힘든 장면이다. 허훈은 이번에도 팀의 기대를 무너뜨리지 않았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