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8일 중국 상하이 콘테이너 터미너 앞에 중국 국기가 휘날리고 있다. 상하이/EPA 연합뉴스 |
미국이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 운영 해운사 등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자 중국 업계가 “부당한 차별”이라고 반발하며 철회를 요구했다.
20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 로이터 통신 등은 중국의 해운 관련 단체들이 일제히 성명을 내어 미국의 새 운항수수료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선박공업행업협회(CANSI)는 전날 “극도로 분개하며, 단호히 반대한다”며 “미국은 허위 고발과 근거 없는 조사 결과에 따라 중국 선박 산업에 부당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 협회는 “미국 조선업 쇠퇴는 보호주의 결과이지 중국과 관련이 없다”며 “(수수료 부과는) 미국 조선업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고, 운임비 상승과 미국 내 물가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 해운사 등을 향해 “근시안적 행위를 함께 막아내고 공정한 시장환경을 보호하자”고 촉구했다.
중국물류구매연합회(CFLP)도 성명에서 미국 조처가 “중국과 미국의 물류 관련 업자, 수출입업자, 소비자 이익을 심각하게 해친다”며 “미국이 시장 규율과 다자무역 질서를 존중하고 잘못된 정책을 즉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선주협회(CSA)는 “보호주의 수단을 남용해 세계 해운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미국의) 행위를 규탄한다”며 “정치적 편견에 바탕을 둔 조사와 조처를 중단하고, 모든 차별적 조처를 폐지하라”고 했다.
앞서,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각) 중국의 해운·물류·조선업 지배 관련 집중적인 조처를 취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미국의 해양 지배력 회복’ 행정명령의 후속 조처다. 무역대표부는 10월부터 입항 수수료를 매기기로 했다. 중국 국적 해운사, 중국 외 다른 국적 해운사라도 중국산 선박이 미국에 입항할 때 입항 수수료를 내도록 했다.
베이징/이정연 특파원
xingxing@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