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현호 기자 hyunho@ |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영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증시 불확실성까지 커지면서 가계대출이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은 물론 신용대출까지 증가하며, 은행권의 대출 총량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41조50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말 기준 738조5511억 원과 비교해 2조4998억 원 가량 늘어난 규모다.
이같은 증가세라면 신학기 이사수요 등으로 확대 폭이 컸던 2월 증가세(3조931억 원)를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
가계대출 신장을 주도한 것은 주담대다. 이달 주담대는 전달(585조6805억 원) 대비 1조5018억 원 늘어난 587조1823억 원을 기록했다.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투기성 매수세가 되살아나며, 일부 지역 거래가 급증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주택 매매 거래량은 전월 대비 32.3% 증가했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4743건)는 전월(3233건) 대비 46.7%나 급증한 수치다.
가계신용대출도 증가세다. 이달 가계신용대출은 102조6658억 원으로 전달(101조6063억 원) 대비 1조595억 원이 늘었다. 이 가운데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6435억 원(37조4655억 원→38조1091억 원) 확대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면 마이너스통장 대출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며 "최근 국내외 증시가 요동치며 단기 투자 자금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으로 국내 증시가 5% 넘게 폭락했던 지난 7일 마이너스통장 잔액은 4929억 원 급증했다.
은행권 가계대출 총량 관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 고유 가계대출 (정책대출 제외분) 잔액도 8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5대 은행의 고유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가계대출 관리 등 여파로 7개월 연속 감소세였다.
[이투데이/문선영 기자 (mo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