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MBK·홈플러스 내주 검찰로…삼부토건은 증선위로 가나

속보
뉴욕증시, 미영 무역협정에 일제 상승 출발…다우 0.6%↑
황진환 기자

황진환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이달 내 조사 종결을 공언한 두 사건 처분이 임박했다. MBK파트너스·홈플러스 사태 관련 건은 조만간 검찰에 이첩될 전망이다. 검찰이 이미 사건 수사를 진행 중인 점을 고려해 패스트트랙(신속 처리)에 태우는 방안이 유력하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은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사 기관으로 넘어갈 공산이 크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인 만큼 증선위 심의를 통해 수사 명분을 보강할 필요가 있어서다.

20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 신용평가사, 증권사 등에 대한 금감원 조사가 사실상 마무리된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은 오는 23일 예정된 증선위 회의에서 이 사안을 올리고 패스트트랙으로 검찰에 넘기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패스트트랙 여부는 증선위원회가 최종 결정한다.

당국 안팎에선 홈플러스 사태의 경우 무난히 수사기관 조기 이첩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 검찰과 금융당국 모두 사안의 신속한 수사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당국 인사는 "서울중앙지검이 수사 중인 사안"이라며 "증선위 심의를 거칠 경우 최소 한달 이상이 걸려 패스트트랙이 효율적"이라고 했다. 검찰 입장에서도 금감원이 확보한 혐의 입증 자료를 확보한 상태로 수사를 본격화하는 상황이 나쁠 게 없다.


정치권에서 조속한 수사 개시를 촉구하는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은 외려 증선위 심의를 밟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 홈플러스와 달리 '신속한 수사 개시' 필요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조건이어서다.

이 사안을 잘 아는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인 데다 한국거래소 심리나 금감원 조사가 1년 가까이 이어진 상황"이라며 "신속히 검찰에 넘기는 것보다 증선위 의결을 거쳐 기관 고발 형태를 갖추는 것이 향후 수사나 재판을 고려할 때 이치에 더 맞는다"고 설명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