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서해에 이동식 구조물뿐 아니라 시추선 방식의 고정 구조물을 설치했단 의혹까지 제기되며 서해공정에 나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은 "시추시설이 아닌 양어장 관리시설"이란 입장입니다. 한중 외교 당국은 조만간 실무진 회담을 가질 예정입니다.
윤동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8년부터 직경 70m 규모의 대형양식장인 선란 1, 2호기를 설치한 중국은 4년 뒤엔 양식장 관리시설이라며 약 100m 크기의 철제 구조물을 세웠습니다.
문제는 이 구조물이 양식장 관리시설이 아닌 해저에 철제 다리를 박은 고정식 광물 시추시설 일 수 있단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입니다.
한국과 중국은 지난 2001년 양국이 주장하는 배타적 경제수역이 겹치는 부분을 '잠정조치수역'으로 설정하고 어업을 제외한 광물 채취와 고정 구조물 설치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남중국해에 인공 구조물을 만든 뒤 영유권을 주장하는 중국의 수법이 서해에서 반복되는 것 아니냔 우려가 나오는 건데, 외교부는 이달 중 서울에서 중국과 국장급 해양협력대화를 개최하기 위해 일정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중국의 고정식 구조물 설치가 사실일 경우, 영토주권 침해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서해 구조물에 대해 비판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일각에선 '친중 프레임'에서 탈피하려는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국민의힘은 "해양주권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이라며 "정치권 모두 단호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TV조선 윤동빈입니다.
윤동빈 기자(ydb@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