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트럼프 관세 유예 결정, 채권 시장 때문?…"트럼프 재산 60% 차지"

속보
"싱가포르 총선서 여당 PAP 승리 확실시" <표본개표 결과>

트럼프 보유 채권, 지난해 기준 약 1870억~6310억원 상당

이중 80%가 지방채…팬데믹 이후 최악의 낙폭 기록



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서 “상호 관세의 유예 기간을 연장할지 여부는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2025.04.11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정지윤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기로 한 결정이 그의 자산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채권 때문 아니냐는 의혹이 나왔다.

1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공시 기준 약 1억2500만 달러에서 4억4300만 달러(약 1870억~6310억원) 상당의 채권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과 비교하면 훨씬 큰 비중이다. 공시에 따르면 트럼프의 자산 중 채권의 비율은 60%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주식은 10% 미만으로 집계됐다.

채권 중 80%는 뉴욕이나 기카고 같은 도시의 지방채다. 지방채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금이 면제돼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자산으로 꼽히는 분야다. 최근 관세 충격으로 지방채 또한 큰 타격을 입었고 일부 지방채 펀드는 팬데믹 이후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부적절한 행동을 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정책을 변경할 만한 재정적 유인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발표한 뒤 폭락한 주식시장에는 의연한 모습을 보였지만 채권 시장까지 흔들리자 관세를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오전 0시 직후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3.9%에서 4.5%까지 올랐다. 30년물은 5%까지 상승했다.


이에 트럼프는 같은 날 유예 조치를 발표하고 기자들에게 "채권시장을 주목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어젯밤 불안해하는 것을 봤다"며 "채권시장은 매우 까다롭지만 지금 보면 아름답다"고 말하기도 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러한 의혹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개인 이익이 아닌 국가 이익을 위한 결정을 내린다"고 해명했다.

stopy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