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파월 해임시 ‘심각한 충격’ 초래”…트럼프는 이미 알고 있다?

속보
3월 경상수지 91.4억달러 흑자…3월 기준 역대 3번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17년 11월 워싱턴 백악관에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연단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17년 11월 워싱턴 백악관에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연단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을 흔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는 자신의 행동이 금융시장 내 대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을 인용, 그가 파월 의장을 해임하면 이미 불안정한 금융시장에 더 큰 변동성을 안길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에게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했다. 임기 중 교체 가능성까지 거론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고 한 파월 의장을 공개적으로 압박한 셈이다.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2회 연속 동결했다.


연준의 존립 근거인 연방준비법에 따르면 연준 이사는 정당한 사유가 있어야만 해임될 수 있다.

대통령이 정책상 이견을 이유로 연준 의장을 해임할 법적 권한은 없지만, 연방 대법원의 명확한 판례가 있지도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 파월 의장을 임기 전 내보내고 연준 이사 출신의 케빈 워시를 임명하는 방안도 검토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을 해임할 법적 근거와 파급 효과 등을 살펴봤다는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참모진은 파월 의장의 해임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고, 이러한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에 심각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러한 조언에 어느 정도 납득한 상태인 것으로도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 기간 중 1929년 대공황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말도 전해진다.

한편 백악관은 파월 의장의 해임 문제에 대해 계속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최근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파월 의장의 해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은 그 문제에 대해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로이터통신, AFP통신 등이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를 촉구하며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돼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빠르게 물러날 것” 등의 발언을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