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과 땅을 잇는 예술, 빛의 굴뚝 미래를 여는 창
【파이낸셜뉴스 김포=김경수 기자】 경기 김포시가 산업 굴뚝을 예술 작품으로 변화시켜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마산동 자원화센터 굴뚝(80m)을 '스테인드글라스'와 '아트 조명'으로 화려하게 재탄생시켰다.
18일 김포시에 따르면 시는 '하늘과 땅을 잇는 예술, 빛의 굴뚝 미래를 여는 창’ 점등식을 개최했다.
‘빛의 굴뚝’은 음악과 함께 하늘로 향하는 횃불 모양, 색과 빛이 바뀌는 '미디어 아트'로 연출됐다.
![]() |
18일 오후 김포한강신도시 호수공원에서 하늘과 땅을 잇는 예술, 빛의 굴뚝 미래를 여는 창 점등식이 진행되고 있다. 김포시 제공 |
【파이낸셜뉴스 김포=김경수 기자】 경기 김포시가 산업 굴뚝을 예술 작품으로 변화시켜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마산동 자원화센터 굴뚝(80m)을 '스테인드글라스'와 '아트 조명'으로 화려하게 재탄생시켰다.
18일 김포시에 따르면 시는 '하늘과 땅을 잇는 예술, 빛의 굴뚝 미래를 여는 창’ 점등식을 개최했다.
‘빛의 굴뚝’은 음악과 함께 하늘로 향하는 횃불 모양, 색과 빛이 바뀌는 '미디어 아트'로 연출됐다.
스테인드글라스 분야서 세계적인 아티스트로 불리는 손승희 작가와 미디어 아트 분야 김혜경 작가가 참여했다.
손 작가는 대형 스테인드글라스를 활용해 굴뚝을 낮 동안 반짝이는 예술로 담아냈다. 김 작가는 LED 아트 조명을 다양하게 입히면서 야간에도 굴뚝이 화려하게 빛나도록 작품을 그려냈다.
산업 시설이 일상 속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변모할 수 있음을 김포시가 보여줬다. 이 굴뚝은 새로운 전환점이자 미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 전국 최초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아름다운 작품으로 변화한 빛의 굴뚝은 예술이 일상 속으로 스며든 김포를 상징한다. 문화 예술 도시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라며 "누산리 철탑 또한 문화 시설로 만들 계획이다. 예술과 감성이 깃든 공간으로 조성해 시민 여러분께 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2ks@fnnews.com 김경수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