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신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감사원의 '통계조작' 감사가 대선개입이라고 반발했지만, 당 차원의 논평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내부적으로는 부동산 통계를 제공하는 부동산원의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는데, 이같은 움직임엔 어떤 배경이 있는 건지 장세희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인 민주당 한준호 최고위원은 감사원의 통계 조작 감사를 "대선에 개입하려는 저열한 의도"라고 비판했습니다.
한준호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윤석열 정부 출범 4개월 만에 착수한 감사를 새 정부 수립을 불과 47일 앞둔 때에 마무리한 저의가 대체 무엇입니까."
하지만 어제 오늘 통계 조작 감사 결과를 비판하는 당 차원의 논평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이슈가 대선 국면에서 다시 떠오르는 게 도움이 되지 않는단 판단이 깔려있단 분석입니다.
민주당은 또 부동산 통계를 제공하는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 정책개발 단계부터 참여하도록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중입니다.
실제로 종부세 강화 등 28차례에 걸쳐 발표한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은 국토교통부가 주도적으로 개발했습니다.
당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한 게 문재인 정부의 패착이었다"며 "부동산 통계 조사 주기나 대상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공공 주택' 공급에 초점을 맞춘 부동산 공약을 준비중인 이재명 후보 역시 종부세 강화 등 문재인 정부의 '규제 노선'을 따르진 않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지난 2월, 유튜브 '삼프로TV')
"가급적이면 전 손대지 않는 게 좋다고 봐요. 손댈 때마다 문제가 돼요, 부동산 정책은."
이 후보 측 관계자는 "공급 물량도 현실 가능한 숫자를 공약할 계획"이라며, "논란이 없고 시장에 이미 가격이 반영된 '3기 신도시' 정책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TV조선 장세희입니다.
장세희 기자(say@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