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문재인 정부가 치솟는 집값을 감추기 위해 부동산 통계를 조작했다는 감사원의 최종결과가 나왔습니다. 당시 청와대가 102차례 걸쳐 통계를 왜곡하라고 지시했고, 통계를 낸 부동산원을 노골적으로 압박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민주당은 대선을 앞두고 내놓은 '정치감사'라며 반발했습니다.
심가은 기자입니다.
[기자]
시민단체 경실련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아파트값이 100% 넘게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30평 기준 6억2천만 원짜리 아파트가 12억9천만 원으로 오른 겁니다.
하지만 당시 국토부 설명은 달랐습니다.
[김현미/당시 국토부 장관 (국회 대정부질문 / 2020년 7월) : {(3년간) 어느 정도 올랐다고 보시나요?} 감정원(한국부동산원) 통계로 11% 정도 올랐다고 알고 있습니다.]
감사원 조사 결과 국토부는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집값 통계를 왜곡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감사원은 당시 청와대가 국토부를 통해 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집값 통계를 102차례 왜곡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 직원들은 "청와대가 주시하고 있다"며 부동산원이 집값을 상승세로 보고하면 "예산과 인력을 날리겠다"고 압박했습니다.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뒤에도 집값 변동률이 보합세를 보인 2019년 6월에는 국토부 실장이 부동산원장을 불러 "정부 정책과 당신은 안 맞는다"며 사퇴까지 요구했다는 게 감사원 설명입니다.
당시 부동산원 직원들의 카카오톡 대화방에선 "국토부에서 낮추란다. 낮추자"부터 "폭주를 한다"
"갑질 시전" "대놓고 조작한다"는 말들도 오갔습니다.
감사원은 국토부 공무원 등 31명에 대한 인사조치를 요구했고 현재 장하성 전 정책실장 등 11명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입니다.
이번 감사원 최종결과에 대해 민주당은 대선을 앞둔 정치감사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처음부터 답을 정해놓고 시작한 감사"라고 비판했고 재판 중인 인사들은 정당한 업무지시 였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류효정 / 영상디자인 신하경]
심가은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