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윤석열 정부가 만든 '방위산업의 날'…제1회 행사부터 파장 우려

서울구름많음 / 18.4 °

대선 한 달 뒤인 7월 8일…범정부 차원 기념식 개최 여부 불확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경남 창원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방문해 전시 장비를 둘러보는 모습.(대통령실 제공) 2022.11.24/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경남 창원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방문해 전시 장비를 둘러보는 모습.(대통령실 제공) 2022.11.24/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오는 7월 8일 처음으로 시행되는 '방위산업의 날' 행사가 정권 교체와 맞물리며 당초 예정된 것보다 행사 규모가 축소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방산업계에선 K-방산의 높아진 위상을 고려해 정부 차원의 상징성 있는 행사를 기대하고 있지만, 새 정부 출범 직후라는 시점상 쉽지 않다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18일 정부와 방산업계 등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은 내부적으로 제1회 방위산업의 날 행사를 준비하고 있으나, 다양한 유관부처를 아우르는 대규모 행사 계획은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다.

방위산업의 날은 지난 2023년 정부가 제정한 국가기념일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을 최초 출전시켜 왜군을 격파한 날에서 따왔다. 방산 종사자들의 자긍심 고취는 물론 K-방산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방위산업의 날 행사는 방사청과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주축이 되고 대통령이 참석할 수 있다는 말도 있었다"라며 "현재는 행사가 3개월밖에 남지 않았으나 '정부 기념식'이 열릴지, 열린다면 어떤 수준이 될지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사실상 논의가 멈췄다는 뜻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방위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키우겠다'고 선포하는 등 방위산업의 날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나, 파면으로 인해 제1회 행사를 직접 챙기지 못하게 됐다.

특히 행사 날짜가 21대 대통령 선거일 한 달 뒤라는 점에서 차기 정부도 방위산업의 날 행사에 공을 들이지 못할 것이 자명해 보인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새 정부의 정책 기조나 개각 등의 변수도 있어 행사 규모나 형식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라고 말했다.

방산 주무부처인 방사청은 일단 가능한 수준에서 제1회 행사를 위한 준비를 한다는 방침이다. 창원시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방위산업 장비대전'을 비롯해 산업계와 국방 관계자가 참여하는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구상 중이다.

한때 방사청과 방산업계에서 검토하던 제1회 방위산업의 날의 임시공휴일 추진도 정권 교체로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는 전체 국민 중 방산 종사자의 비율이 높지 않아 애초부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어수선한 상황이지만 방사청과 방산업계는 정권이 바뀌더라도 방산 육성 기조가 후퇴하진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전날 우리나라를 세계 4대 방위산업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제시하기도 했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K-방산이 하나의 국가 대표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수출 실적도 꾸준히 증가하는 만큼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첫 기념일을 의미 있게 만들 필요가 있다"라며 "규모보다 방산업계와 장병, 국민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내실을 챙긴 행사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h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