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서초 0건-용산 1건… 토허제 확대 뒤 얼어붙은 아파트 거래

속보
"인도령 카슈미르 스리나가르공항 근처에 10건의 폭발"
이달 강남3구 거래도 11건 그쳐

“세입자 안고 사는 갭투자 차단 영향”

토허제 지역 가격 상승폭도 줄어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체 지역에 토지거래허가제가 확대 토지거래허가제가 재시행된 24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 앞에서 시민이 부동산 시세를 살펴보고 있다. 2025.03.24. 뉴시스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체 지역에 토지거래허가제가 확대 토지거래허가제가 재시행된 24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 앞에서 시민이 부동산 시세를 살펴보고 있다. 2025.03.24. 뉴시스


4월이 보름 넘게 지났지만 서울 서초구에서 거래 신고된 아파트는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4일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구)와 용산구 내 모든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확대 지정되면서 서울 아파트 거래가 얼어붙은 것으로 보인다.

1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16일 신고일 기준)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내 아파트 거래량은 총 12건으로 집계됐다. 서초구는 지난달 221건 거래됐으나 이달 거래량은 0건으로 나타났다. 용산구는 단 1건만 거래돼 지난달(227건) 대비 급감했다. 강남구(720건→7건), 송파구(624→4건) 모두 거래량이 한 자릿수였다.

이는 토허제로 지정되면서 세입자를 안고 매수하는 이른바 ‘갭투자’가 원천 차단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초구와 용산구는 과거 토허제가 아니었다가 이번에 새롭게 지정되면서 규제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47건으로 집계됐다. 현재 추세대로면 신고 기한이 30일인 점을 고려할 때 3000건대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이는 지난달 거래량(8695건) 대비 약 60% 급감한 수준이다.

지난달 토허제 확대 지정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확대 움직임은 사그라드는 모양새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값은 전주(0.08%)보다 0.08% 올랐다. 2월 첫째 주(0.02%) 이후 11주 연속 올랐으나 상승 폭은 전주 대비 같았다.

강남 3구 중 강남구(0.20%→0.16%)와 송파구(0.16%→0.08%)에서는 상승 폭이 줄었다. 토허제 규제를 받지 않는 ‘마용성’(마포, 용산, 성동구) 모두 서울 평균 대비 높게 올랐지만 상승 폭이 눈에 띄게 확대되지는 않았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재건축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도 희망가격이 오르며 거래되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매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경기에서는 집값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경기 아파트 값은 전주(―0.01%)보다 0.01% 하락하며 2주 연속 내렸지만 과천시(0.35%), 성남시 수정구(0.20%) 등에서는 상승 폭이 커졌다. 세종시는 전주(―0.07%)보다 0.04% 오르며 상승 전환했다. 2023년 11월 셋째 주(―0.02%) 하락한 후 1년 5개월 만이다. 국회와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 등이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0.02%)보다 0.02% 오르며 2월 첫째 주(0.01%) 이후 11주 연속 상승했다.

이축복 기자 bless@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