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 문제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대선 출마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 권한대행으로서의 일거수일투족이 정치적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한 대행이 다음 달 선출되는 국민의힘 후보를 포함해 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맞설 단일 후보를 선출하는 ‘빅텐트’에 참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런 논란에 한 대행은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주변에선 출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한다.
지금은 대통령이 파면된 국가 비상 시국이다. 거기에 트럼프의 관세, 안보 위협까지 겹쳐 있다. 이 상황에서 대통령 대행은 국정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다. 통상 전문가인 한 대행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를 포함해 최대 현안인 관세 협상을 이끌고 있다. 권한대행은 대통령 선거를 공정하게 관리할 의무도 있다.
그런데 한 대행이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이런 중대한 역할과 책무가 모두 정치 행위가 될 수밖에 없다. 민주당은 한 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과 관세 협상, 그리고 경제 현장 방문까지 모두 대선 출마를 위한 사전 선거운동으로 규정해 비판하고 있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출마한 후보들도 “한 대행이 부전승으로 대기하는 것은 불공정하다” “대선을 관리할 관료의 출마 자체가 비상식”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이 상황이 조금 더 이어지면 한 총리의 대통령 대행 입지 자체의 정당성이 문제 될 수 있다.
17일 공개된 여론조사에서 한 대행 출마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은 66%, ‘바람직하다’는 의견은 24%였다. 한 대행이 대선에 출마할 생각을 굳혔다면 이제는 대통령 대행으로서 거취를 정리해야 한다.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면 그 생각을 분명히 밝히고 국정에 전념해야 한다.
[조선일보]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