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이재명이 소유한 아파트가 있다”...벌써부터 들썩이는 분당 집값

속보
"美中, 스위스 제네바서 이틀째 무역협상 시작" <中 CGTN>
1기 신도시 재건축 추진 호재
李소유 아파트 연일 신고가
양지마을 84㎡ 17.7억 거래

강남 규제에 ‘준강남’ 풍선효과
과천 전세·매매 전국 상승률 1위
‘천도설’ 세종집값은 상승 반전


분당 양지마을 1단지 금호아파트. 한주형기자

분당 양지마을 1단지 금호아파트. 한주형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지정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한 가운데 ‘준강남’으로 불리는 경기 성남시 분당과 과천시에서 연일 신고가 거래가 발생해 주목된다. 재건축 추진 기대감도 큰 곳이라 토허구역 풍선효과가 분당과 과천에서 나타나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둘째주(1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성남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상승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전주 대비 성남시 수정구는 0.2%, 분당구는 0.13% 올랐다. 경기도 전체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0.01% 하락한 것과는 대조된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전주와 동일한 0.08%에 그치기도 했다.

실제 분당에선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샛별마을·양지마을·시범우성·현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양지마을 6단지 금호청구는 지난달 29일 전용면적 59.94㎡가 10억35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됐다. 같은 달 양지마을 금호1단지 전용 84㎡도 17억7000만원에 팔리며 최고가를 찍었다.

양지마을은 유력 대선 경선 후보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소유한 단지로 유명하다. 시장 일각에선 이를 토대로 정권이 바뀌어도 재건축 사업은 꾸준히 추진될 것이란 기대감을 품기도 한다. 다만 제자리 재건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며 주민 간 갈등이 불거지는 상황이 변수다.

샛별마을 우방아파트 전용 57.28㎡는 지난달 26일 10억2000만원에 최고가 거래됐다. 작년 10월 동일 평형이 8억8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1억4000만원(15.9%) 오른 셈이다. 서현동 시범우성 전용 59.73㎡ 역시 지난 5일 12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깼다. 주민대표단 선출 절차가 이어지는 등 재건축 추진 기대감이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수정구 창곡동에 위치한 산성역자이푸르지오 2단지는 지난 5일 전용 74.92㎡ 매물이 11억2000만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를 새로 썼다. 지난해 11월 거래(9억3000만원) 대비 20.4% 오른 가격이다.


이번주 과천 아파트는 매매가격(0.35%)과 전세가격(0.34%)이 모두 큰 폭으로 오르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과천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0.19%)보다 상승폭이 커지기도 했다. 과천시 원문동에 위치한 래미안슈르에선 지난 3일 전용 59.97㎡가 이전 거래(15억9000만원)보다 5000만원(3.1%) 오른 16억4000만원에 손바뀜했다. 같은 원문동에 있는 과천위버필드에서도 전용 84.98㎡가 지난달 28일 신고가를 새로 썼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분당과 과천은 토허구역 확대 지정에 따른 수혜지로 볼 수 있다. 강남권 대체 수요가 몰릴 수 있기 때문”이라며 “게다가 재건축 기대감이 큰 상황이라 풍선효과가 나타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과천에서도 주공4·5·8·9·10단지가 재건축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한편 본격적인 대선 국면에 접어들며 세종 아파트값(0.04%)이 상승 전환한 것도 눈길을 끈다. 세종 아파트 하락세가 멈춘 건 작년 9월 넷째주 보합(0.00%)을 기록한 이후 6개월 만이다. 아예 상승세를 보인 건 2023년 11월 둘째주(0.1%) 이후 1년5개월 만이다. 최근 정치권에서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에 대한 공약이 나오는 영향이 크다. 이 전 대표는 이날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