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6일(현지시간)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정책의 악영향을 경고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를 압박하며 해임돼야 한다고 비난했다.
1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SNS 트루스소셜에 “유럽중앙은행(ECB)은 7번째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항상 늦고 틀리는 연준의 제롬 파월은 어제 또 전형적이고 엉망진창인 보고서를 내놓았다”라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유가가 하락하고, 식료품(심지어 달걀도!) 가격도 내려가고 있으며, 미국은 관세로 부를 쌓고 있다”며 “너무 늦은 파월은 EBC처럼 진작에 금리를 낮췄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금리를 인하해야 하며, 파월의 해임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파월 의장이 관세 정책을 비판한 지 하루만에 나왔다. 파월 의장은 전날 일리노이주의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관세 인상 수준과 범위가 연준의 예상치를 크게 웃돌고 있다면서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충격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실업률과 물가지수가 동반 상승해 연준의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 지명한 파월 의장과 공개적으로 대립각을 세워왔다. 2018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를 비판한 데 이어, 이듬해엔 파월 의장을 의장직에서 강등하거나 해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파월 의장의 임기를 보장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취임 이후로도 꾸준히 금리 인하를 압박해 연준의 독립성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졌다.
파월 의장은 앞서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이 사임을 요구하더라도 물러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연방준비법에 따르면 의장을 포함한 연준 이사는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만 대통령이 해임할 수 있다. 파월 의장의 임기는 2026년 5월까지다.
☞ 파월 “관세로 실업률·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할 것”…트럼프 정책 직격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170701001
김희진 기자 hji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