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법 개정안 17일 본회의서 가결
"공영방송의 사명 충실히 이행할 것"
"수신료 공적 가치 실현 약속"
"공영방송의 사명 충실히 이행할 것"
"수신료 공적 가치 실현 약속"
[이데일리 스타in 최희재 기자] KBS(한국방송공사)가 방송법 개정안이 17일 국회 본회의 재표결에서 가결된 것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KBS 측은 17일 공식입장을 통해 “‘수신료 통합징수’를 규정한 방송법 개정안이 국회 재투표를 거쳐 최종 통과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이번 방송법 개정을 통해 공영방송의 제도적 기반이 한층 더 튼튼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어 “KBS뿐 아니라 대한민국 방송산업 생태계 전반의 재정과 제도적 안정을 확보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KBS는 지난 수신료 제도 변화 과정에서 겪은 재정 위기뿐 아니라, 무엇보다 국민의 신뢰를 충분히 얻지 못한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현재 내부 혁신에 박차를 가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사진=KBS) |
KBS 측은 17일 공식입장을 통해 “‘수신료 통합징수’를 규정한 방송법 개정안이 국회 재투표를 거쳐 최종 통과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이번 방송법 개정을 통해 공영방송의 제도적 기반이 한층 더 튼튼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어 “KBS뿐 아니라 대한민국 방송산업 생태계 전반의 재정과 제도적 안정을 확보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KBS는 지난 수신료 제도 변화 과정에서 겪은 재정 위기뿐 아니라, 무엇보다 국민의 신뢰를 충분히 얻지 못한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현재 내부 혁신에 박차를 가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방송법 개정을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아, 공영방송 본연의 사명을 더욱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 진영 논리를 넘어 국민의 삶을 최우선에 두고, 시청자의 눈높이에서 소통하는 공영방송으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국가적 과제에 대한 공론의 장 역할 강화 △재난방송 주관방송사 책무 강화 △ AI 기술 콘텐츠 제작에 적극 도입 △경영 효율화와 조직 혁신 추진 등을 과제로 삼았다.
KBS는 “수신료 통합징수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뜻을 모아주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번 과정을 통해 회사와 대한민국 방송산업의 미래를 위한 노사간의 깊은 공감과 책임 의식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KBS는 방송법 개정을 계기로 삼아, 국민 신뢰를 다시 세우고 수신료의 공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국회의 재의결 단계로 돌아온 방송법 개정안이 17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됐다. 무기명 투표 결과 개정안은 찬성 212표, 반대 81표, 기권 4표, 무효 2표로 가결됐다. 재표결 법안의 가결 요건은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다.
개정안은 한국전력이 KBS와 EBS의 재원이 되는 TV 수신료를 종전처럼 전기요금과 결합해 징수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지난해 12월 2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방송법 개정안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 재의결 단계로 넘어왔다.
방송법 개정안 최종 통과에 대한 KBS 입장 전문
KBS는 ‘수신료 통합징수’를 규정한 방송법 개정안이 국회 재투표를 거쳐 최종 통과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가 압도적인 지지로 방송법을 개정해 주신 데 대해 깊이 감사드리며, 이번 방송법 개정을 통해 공영방송의 제도적 기반이 한층 더 튼튼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번 개정안 통과는 KBS뿐 아니라 대한민국 방송산업 생태계 전반의 재정과 제도적 안정을 확보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KBS는 지난 수신료 제도 변화 과정에서 겪은 재정 위기뿐 아니라, 무엇보다 국민의 신뢰를 충분히 얻지 못한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현재 내부 혁신에 박차를 가해오고 있습니다.
KBS는 이번 방송법 개정을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아, 공영방송 본연의 사명을 더욱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진영 논리를 넘어 국민의 삶을 최우선에 두고, 시청자의 눈높이에서 소통하는 공영방송으로 거듭나겠습니다.
특히 저출생, 지방 소멸 등 국가적 과제를 다루는 공론의 장 역할을 강화하고,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재난방송 주관방송사로서의 책무도 더욱 강화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신뢰받는 저널리즘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겠습니다.
또한 AI 기술을 콘텐츠 제작 전반에 적극 도입하여 창의적이고 품격 있는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혁신을 이루어 내겠습니다.
아울러 수신료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경영 효율화와 조직 혁신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이번 방송법 개정 과정에서 수신료 통합징수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뜻을 모아주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전국의 KBS 시청자위원회를 비롯해 연기자, 작가, 제작자 등 방송계 종사자, 그리고 미디어 관련 학계의 지지와 연대에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또한, 이번 과정을 통해 회사와 대한민국 방송산업의 미래를 위한 노사간의 깊은 공감과 책임 의식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노사관계는 공영방송 발전을 위한 든든한 토대가 될 것입니다.
KBS는 방송법 개정을 계기로 삼아, 국민 신뢰를 다시 세우고 수신료의 공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