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일본산 농수축산물 10개 중 1개 꼴로 세슘 검출”

서울맑음 / 22.3 °
최경숙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이 17일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2024년 일본산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실태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최경숙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이 17일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2024년 일본산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실태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일본산 농수축산물 식품 10개 중 1개에서 방사성물질인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환경단체들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14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오염이 지속되고 있다며 일본산 식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대폭 강화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은 17일 ‘2024년 일본산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 실태 분석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일본 후생노동성이 자국 농수축산 식품 총 4만5413건을 검사한 결과 4258건에서 세슘137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일본 전 지역의 식품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방사성물질의 검출률이 9.4%인 것으로, 말하자면 식품 10개 가운데 1개는 방사성물질에 오염됐다는 뜻이다. 우라늄 원료의 핵분열로 생기는 방사성물질인 세슘137 등 세슘 동위원소가 인체에 대량으로 침투할 경우 불임 및 전신마비, 백내장, 각종 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후쿠시마 사고 이후 14년 동안 일본 농수축산물에선 높은 오염이 확인되고 있으며, 방사성물질 검출률도 지난해를 포함해 최근 5년간 큰 변동이 없다고 환경운동연합은 밝혔다. 먼저 자연에서 살아가는 야생조수의 경우 방사성물질 검출률이 23.6%(7679건 중 1809건 검출)로 가장 높았다. 멧돼지고기에선 1만4000㏃/㎏, 흑곰고기에선 530㏃/㎏의 방사성 세슘이 검출됐다. 1베크렐(㏃)은 1초에 1개의 방사선이 나온다는 의미다. 우리나라는 식품 내 방사성 세슘의 권고 기준을 1㎏당 100베크렐로 설정하고 있다. 사람이 키우는 축산물의 경우 검출률은 1.4%(7114건 중 100건 검출)로 비교적 낮았지만, 소고기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120㏃/㎏가 검출되는 등 방사성 세슘의 검출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환경운동연합은 설명했다.



전체 농산물 대상 검출률은 12.2%(1만2448건 중 1647건)로, 즐겨 먹는 두릅나무류(250㏃/㎏)와 죽순(200㏃/㎏), 고비나물(480㏃/㎏) 등 오염도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향버섯은 1000㏃/㎏, 노란털벚꽃버섯은 440㏃/㎏이었다. 특히 큰비비추잎, 고사리, 밤, 완두콩 등 산나물이 아닌 재배 식물에서도 방사성 세슘 검출이 늘어나고 그 최고값도 높아졌다는 것이 올해 주목할 점이다. 환경운동연합은 “후쿠시마 현내의 방사능 제염토를 재활용하여 농지를 조성하고 있는 것이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환경운동연합 제공


수산물의 경우 검사 대상 중 4.1%(1만466건 중 595건)에서 방사성 세슘이 검출됐다. 이중 우리나라 정부가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후쿠시마 인근 8개 현에서 잡힌 수산물은 370건이었다. 수입금지 지역에서 수산물의 방사성물질 검출률은 4.2%로, 수입허용 지역(0.3%)보다 14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일본 해협에서 잡히는 해수어인 연어목의 오염도는 66㏃/㎏로 후쿠시마 어협의 기준치(50㏃/㎏)를 초과했고, 검출률도 55%에 달했다. 이처럼 “특정 어종에서 방사성 세슘의 농도와 검출률의 급격한 증가는 후쿠시마 사고로 인한 방사성 물질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환경운동연합은 밝혔다.



최경숙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은 “후생노동성 발표와 달리 도쿄신문이 자체 조사한 버섯 오염도가 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 정부는 안전이 아니라 식품 유통과 수출을 위해 요식행위를 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후쿠시마 인근 8개 현에 대한 수산물 수입규제를 넘어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금지를 통해 시민의 건강을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일본산 농수산물과 식품 수입액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의 지난해 ‘농림수산물·식품 수출 실적’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지난해 일본 농수산물과 식품 수입액은 총 911억엔(약 9057억원)으로 전년보다 19.8% 증가했다. 일본 정부는 현재 한국 등이 금지한 후쿠시마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을 재개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