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헌재, 한덕수 지명 효력정지 이어 여론도 부정적...韓 출마론 주춤?

속보
국회 'SKT 해킹사태' 최태원 회장 증인 채택
이투데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1일 서울 서대문구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열린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6주년 기념식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2025.4.11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의 효력을 정지한 가운데 한 대행의 출마설에 대한 부정 여론까지 공개되면서 국민의힘의 '한덕수 출마론'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4일부터 16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한 대행의 대선 출마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이 66%로 집계됐다.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24%, '모름·무응답'은 10%를 기록했다.

이념 성향별로 보수층에서는 출마 부정 인식과 긍정 인식이 각각 46%로 조사됐다. 반면 중도층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이 73%로, 바람직하다(20%)는 응답을 크게 앞섰다. 진보층에선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이 88%로 더 높았다.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8%였다.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판단에 제동...여론까지 부정적


앞서 전날 헌재는 한 대행이 8일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한 행위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김정환 법무법인 도담 변호사가 낸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헌법재판관 9명 전원일치로 인용한 것이다. 한 대행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전후로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대체적이었으나 헌재의 이번 결정으로 한 대행의 리더십에도 제동이 걸리게 됐다.

헌재가 이같은 결정을 내린 상황에서 한 대행에 대한 부정 여론까지 더해져 '한덕수 출마론'과 단일화 가능성을 띄웠던 국민의힘의 대선 그림 역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간 국민의힘 내부에선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한덕수 차출론이 급물살을 탔다. 보수 진영 잠룡이 '15룡'으로 거론될 만큼 난립하면서도 정작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대항마로 될 '1강'이 없다는 우려가 팽배했다. 이에 보수 진영 일각에서 국정 운영 경륜과 전문성을 갖춘 한 대행이 등장해 중도층으로 외연을 확장, 구원 투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기대감이 커졌고 이는 한덕수 대망론으로 이어졌다. 보수진영의 유력 대선 잠룡이었던 오세훈 서울시장이 돌연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배경에 한 대행에 대한 추대가 영향을 줬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올 만큼 분위기는 예사롭지 않았다.


다만 한 대행의 출마를 두고 국민의힘 경선 주자 간 온도차는 있다.

나경원 의원은 전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한 대행 출마설에 대해 "한 대행 나와라 하는 분들의 절박함은 충분히 이해되지만 지금이 굉장히 중요한 시기"라며 "미국이 상호관세를 이야기하면서 90일의 유예기간을 주고 시간이 째각째각 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은 관세전쟁에 있어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될 것이냐에 대해서 (한 대행이) 집중하는 것이 맞다"고 답했다.

앞서 홍준표 후보는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상식에 반하는 정치 행태"라며 "대선을 중립적으로 관리하실 분을 출마시킨다는 것은 상식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한동훈 후보 역시 같은 문제에 대해 "해당 행위"라고 비판한 바 있다.


안철수 후보는 이날 SBS 라디오에서 "안 나오시는 게 맞고, 안 나오셔야 된다"고 언급했다. 특히 한 대행의 출마를 주장해온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김문수 후보 캠프에 합류하면서 단일화를 추진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고 본다"며 "두 분 다 윤석열 정부의 성공과 무관하지 않은 분이다. 오히려 (국민들이) 실패한 정권의 주역들이 생각나실 것"이라고 했다.

전날 김문수 후보 캠프엔 그간 한 대행의 출마를 주장해왔던 박 의원이 전격 합류했다. 정치권에선 향후 한 대행과의 단일화 가능성의 대비한 포석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김 후보 캠프 측은 이날도 헌재의 판단에 대한 논평을 내고 "어느새 헌정 질서는 이재명 민주당의 손에 의해 조용히, 그리고 뻔뻔하게 유린당하고 있다"라며 "마은혁과 민주당이 휘두르는 권력의 광풍이 대한민국의 헌법과 사법의 균형을 어떻게 파괴할지 심각한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투데이/김동효 기자 (sorahosi@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