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수소 굴기'
전문가 "정부 장기적 로드맵 필요"
![]() |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에서 인도네시아 자원 수소 순환형 설루션(W2H) 수소 생태계 조정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그룹 |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인도네시아에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등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국내 생태계 조성 작업을 넘어 글로벌 단위로 확대한 셈이다. 탄소중립을 추진하며 글로벌 수소 산업 장악력을 키우는 중국 업체와 경쟁이 불가피하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에서 인도네시아 자원 수소 순환형 설루션(W2H) 수소 생태계 조정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 W2H는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한 메탈을 최종 수소로 바꾸는 설루션이다.
현대차그룹은 현대로템 수소 개질기를 이용해 인도네시아 매립지에서 추출된 바이오가스를 청정 수소로 변환한다는 방침이다. 현대로템은 지난달 대만에서 열린 2025 스마트 시티 서밋&엑스포(2025 SCSE)에서 현대차그룹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 HTWO를 소개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11월 울산시와 울산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달 초에는 울산에 수소연료전지 공장을 신설하기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난 1월에는 삼성물산(에버랜드) 등과 수소전기 통근버스 도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현대차그룹이 인도네시아에 수소 생태계를 조성한 배경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놓고 중국과의 경쟁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국내를 넘어 글로벌 단위에서 수소 생태계를 선제적으로 조성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구상이다.
인도네시아 시장이 동남아시아 전기차 허브로 떠오른 상황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비야디(BYD) 등 중국 업체는 저가 공세를 통해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선제적으로 수소 생태계를 구축해 중국 업체보다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계산이다.
중국 업체가 진출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한 북미에서는 현대차그룹이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해 9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노칼(NorCAL) 제로 프로젝트를 개시해 항만 물류에 친환경 수소 트럭을 도입한 상태다.
![]() |
지난해 9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H2 MEET 2024' 현대차그룹 부스에 현대차 수소트럭 '엑시언트'가 전시돼 있는 모습. /김태환 기자 |
세계 수소 산업에서 중국이 기반을 빠르게 구축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점은 경계하는 지점이다. IEA(세계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중국은 2023년 세계 수소 생산량 중 30%를 차지했다. 글로벌 수소 소비는 29%를 기록해 북미와 중동, 인도를 뛰어넘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020년 9월 유엔총회에서 206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했다. 이듬해에는 2030년 수소차 100만대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국영 기업들은 정부 지원을 받아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5개 도시군 41개 도시를 수소차 시범운영도시로 지정하기도 했다.
수소 산업 밸류체인은 제조와 저장·운송, 충전, 에너지전환, 활용 등으로 나뉜다. 현대차그룹 차원에서도 수소 관련 사업이 다방면으로 확장할 것으로 판단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관을 변경하며 사업목적에 '수소 사업 및 기타 관련 사업'을 추가했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기업만 노력한다고 글로벌 수소 전쟁에서 경쟁력이 생길 수 없다고 지적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장기적 로드맵을 갖고 국내부터 시장을 비롯한 생태계 조성에 힘을 실어야 글로벌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초 비상경제 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세계 1등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한 현장 중심 규제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수전해와 수소충전소, 액화수소, 청정수소발전, 수소모빌리티 등 분야 규제를 발굴하고 개선했다고 강조했다.
최영석 원주한라대 미래모빌리티공학과 객원교수는 "인도네시아에서 계획하는 바이오수소의 청정수소 전환 사업은 국내에서도 진행하고 있다"며 "아직 단가 등이 맞지 않아 보조금 등 정부와 지자체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대형 차량에 적합한 수소차 특성을 고려할 때 버스나 트럭만으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장기적 로드맵을 구축해야 한다"며 "전기버스를 도입할 당시에도 수소차를 논의했으나 어려움이 있었다. 관건은 정부나 지자체 의지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