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미 특사, 이란 협상 앞두고 ‘핵농축→전면 폐기’ 번복…“외교 혼란” 비판

서울흐림 / 14.8 °
경향신문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왼쪽)와 아바스 아라그치 이란 외교장관(오른쪽). AFP연합뉴스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을 주도하는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가 이란 핵 프로그램 전면 폐기 대신 우라늄 저농축 허용 가능성을 언급했다가 이를 번복했다.

위트코프 특사는 15일(현지시간) 엑스에 “이란은 핵농축과 무기화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제거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전 세계를 위해 지속할 수 있는 강력하고 공정한 합의를 만드는 것이 필수”라며 “그것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내게 요청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전날 위트코프 특사가 내놓은 발언과는 다른 내용이다. 위트코프 특사는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핵 협상 목표로 ‘핵 프로그램 전면 폐기’가 아닌 ‘우라늄 농축 제한’을 제시했다. 그는 “(핵 협상은) 우라늄과 무기 검증이라는 두 가지 포인트에 대한 것”이라며 “이란은 (우라늄을) 3.67%를 초과해 농축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이러한 위트코프 특사의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의 양보로 해석되며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그간 미국은 이란에 핵 프로그램 전면 폐기를 요구해왔으나, 이를 ‘농축 제한’으로 수정한 것으로 해석되는 발언이었기 때문이다. 위트코프 특사가 언급한 농축도 3.67%는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폐기한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상 농축 제한과 같은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JCPOA 파기 후 이란은 고농축 우라늄 생산량을 늘렸다. 60% 농축 우라늄 보유량은 지난 2월 274.8㎏으로, 원자폭탄 6개를 만들 수 있는 수준이다.

영국 가디언은 “위트코프의 명백한 입장 선회는 혼란스러운 외교 정책 결정의 또 다른 사례”라며 “행정부가 대통령의 등 뒤에서 서로 싸우고, 대통령은 정책 세부사항에 집중하지 않거나, 자신을 대신해 내려진 결정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위트코프 특사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번복된 입장에 대해 답변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외교 경험이 전무한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 위트코프 특사는 미국의 이란 협상, 가자지구 휴전협상,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협상 등에 주도적으로 참여해왔다.

위트코프 특사 등 미국 측 대표단은 지난 12일 오만에서 이란 측과 만났다. 오는 19일 예정된 양국 대화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졌으나 장소가 확정되진 않았다.


한편 AP통신은 두 번째 미국 항공모함인 칼빈슨 항모전단이 중동 해역에서 작전을 수행 중인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조형국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