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유대 근절 등 요구
대학 운영 자율권 두고 충돌
중동 문제에서 일방적으로 이스라엘 편에 서 온 트럼프 정부가 이번에는 미국 대학들의 지존 격인 하버드와 반유대주의, 대학 운영 자율권 등을 둘러싸고 충돌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14일 하버드대학에 22억달러(3조1000억원) 규모의 보조금과 6000만달러(854억원) 상당의 계약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하버드가 "독립성과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두고 협상하지 않겠다"면서 '대학 개입 정책'에 대한 거부성명을 발표한 지 몇 시간 만이다.
이날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트럼프 정부 요구를 불법으로 규정하며 거부했고, 미국교수협회(AAUP) 하버드 지부 명의로 기금 지원 중단을 실행하지 못하도록 정부 상대 소송까지 제기했다. 이에 따라 숨죽이던 다른 주요 대학들도 뒤를 따를 분위기이다. 명문 사립대들과 트럼프 정부의 갈등도 더 깊어질 분위기이다.
대학 운영 자율권 두고 충돌
중동 문제에서 일방적으로 이스라엘 편에 서 온 트럼프 정부가 이번에는 미국 대학들의 지존 격인 하버드와 반유대주의, 대학 운영 자율권 등을 둘러싸고 충돌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14일 하버드대학에 22억달러(3조1000억원) 규모의 보조금과 6000만달러(854억원) 상당의 계약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하버드가 "독립성과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두고 협상하지 않겠다"면서 '대학 개입 정책'에 대한 거부성명을 발표한 지 몇 시간 만이다.
이날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트럼프 정부 요구를 불법으로 규정하며 거부했고, 미국교수협회(AAUP) 하버드 지부 명의로 기금 지원 중단을 실행하지 못하도록 정부 상대 소송까지 제기했다. 이에 따라 숨죽이던 다른 주요 대학들도 뒤를 따를 분위기이다. 명문 사립대들과 트럼프 정부의 갈등도 더 깊어질 분위기이다.
반면 트럼프 정부는 완강하다. 반유대주의 근절을 앞세웠지만, 대학가 '진보주의'를 꺾고 '대학을 정상으로 돌려놓겠다'는 '대학 길들이기' 의지가 강하다. 지난달 4억달러(약 5686억원)의 연방 지원이 끊기자 명문 컬럼비아대가 정부 요구를 수용한 뒤여서 하버드도 꺾겠다는 의욕이 강하다. 트럼프 정부는 하버드에 대한 추가 제재방안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의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는 이날 "하버드대 성명은 최고 명문 대학에 만연한 문제 많은 권리의식, 즉 연방정부 투자에는 시민권법을 준수할 책임은 따르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강화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최근 몇 년 대학을 휩쓴 유대인 학생에 대한 괴롭힘과 학습 차질은 용납할 수 없다"며 "명문대들이 납세자 지원을 계속 받으려면 의미 있는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버드대는 지난해 가자지구 전쟁 반대 시위 이후 백악관의 주요 공격대상이 됐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달 하버드대에 '지속적인 재정지원을 위해 필요한 9가지 조치 실행'을 요구했었다. 정부 요구에는 다양성·평등·포용(DEI) 프로그램 폐지, 반유대주의 프로그램 개편, 교직원 채용 감사 수용 및 관련 데이터 제공, 교수진 전체에 대한 표절검사 시행, 인종·출신국가·평점별로 정리된 입학지원자 전원의 입학 데이터 정부 제출 등을 담았다.
june@fnnews.com 이석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